빛을 향하여

시인 박목월 부인의 남편 사랑 이야기(옮긴 글)

시조시인 2022. 3. 11. 10:57

  시인 박목월 부인의 남편사랑 이야기

 



가족이라는 것은 모든 삶의 중심에 놓여진 

내 생명의 가치와 생명의 이상과 

그리고 생명의 실현의 목표가 되는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가족들이 

어떻게 엉켜 살아가야 하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청목파 시인 박목월님의 아드님,

박동규 문학박사의 이야기]

.

내가 6살 때였습니다. 눈이 펑펑 쏟아지는 밤이었는데,

아버지는 글을 쓰고 싶으셨습니다.

저녁을 먹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가 방에

상을 가지고 오라고 했습니다.

책상이 없었던 아버지는 밥상을 책상으로 쓰고 있었죠.

어머니는 행주로 밥상을 잘 닦아서 갖다 놓았습니다.

그러자 아버지가 책상에 원고지를 올려놓고 연필을

깎기 시작했습니다.

어머니는 나에게 세달 된 여동생을 등에 업히라고 했습니다.

그리고는 이불 같은 포대기를 덮고서는 “옆집에 가서 놀다

올게.”하고 나가셨습니다.

.

나는 글 쓰는 아버지의 등 뒤에 붙어 있다가 잠이 들었죠.

얼마를 잤는지 알 수 없습니다.

누가 나를 깨워서 눈을 떠 보니까 아버지였습니다.

아버지는 나를 깨우더니 “통행금지 시간이 다 되어 가는데

네 어머니가 아직 돌아오지 않았어.

나가서 어머니를 좀 찾아오너라.”

.

나는 자던 눈을 손으로 비비고 털모자를 쓰고 옷을 입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나가 보니까 무릎높이까지 눈이 쌓여있었고 또 하늘에서는

눈이 펑펑 내리고 있었습니다.

나는 이 집 저 집 어머니를 찾아 다녔지만

찾지를 못했습니다.

지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집으로 돌아오려다가

갑자기 생각이 났습니다.



어머니와 제일 친한 아주머니가 아랫동네에

살고 있었습니다.

그 집에 한 번만 더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골목길로 들어서는데, 전봇대가 있고

그 전봇대 옆에 나보다 더 큰 눈사람이 있었습니다.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눈사람 곁을 스쳐 지나가는데

뒤에서 누가 “동규야~”하고 불렀습니다.

보니까 어머니였습니다.

.

어머니는 눈을 철철 맞으며 보자기를 머리에 쓰고

있었는데 그 보자기를 들추면서 가까이에 오시더니

‘너 어디 가니?’하고 물었습니다.

나는 볼멘소리로 어머니를 찾아오라고 해서

아랫동네 아줌마 집에 가는 길이다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러자 갑자기 어머니가 내 귀에 가까이 입을

대면서 물었습니다.

.

“아버지 글 다 썼니?”

나는 고개만 까딱거렸습니다.

어머니는 내 등을 밀어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나는 이 사건을 평생 잊지 못하고 삽니다.

세월이 갈수록 내 머릿속엔 몇 시간씩이나

눈 구덩이에 서서 눈을 맞으며 세달 된 딸을 업고 있던

어머니를 생각합니다.

세달 된 내 여동생이 아버지가 시를 쓸 때 울어서

방해될 까봐 그렇게 어머니는 나와서 눈을 맞고

서 있었던 겁니다.

나는 대학을 졸업하고서 처음 직장에 다닐 때 즈음이야

조금 철이 들어서 고생하는 어머니에게 한 번 물었습니다.

“엄마, 그때 얼마나 힘들었어.돈도 많이 벌어오지도 못하고,

그런데 어머니는 뭐가 좋아서 밖에 나가서 일도 하고

힘들게 고생하면서 애를 업고 있었어?”

.

나는 어머니가 우리 집 생활을 끌고 가는 것이

안타까운 마음에서 물어본 것입니다.

그런데 어머니는 웃으면서 “그래도 니 아버지는

밤에 그렇게 시를 다 쓰고 나면 발표하기 전에

제일 먼저 나보고 읽어보라고 해~” 하고 웃으셨습니다.

.

어머니가 아버지와 살아가면서 힘든 일을 겪어가면서

시인으로 살아가는 아버지를 이해하는 것은 바로

‘시 한 편을 읽어보라’고 하는 아버지의 배려의 힘이었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남편과 아내가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고 사는 것은

이런 배려를 통해서 서로 사람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 옮긴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