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不在高 有仙則名(산불재고 유선즉명)- 산이 높지 않아도 신선이 있으면 유명하고
水不在深 有龍則靈(수불재심 유용즉영)- 물이 깊지 않아도 용이 있으면 신령하네.
斯是陋室 惟吾德馨(사시누실 유오덕형)-여기 이 누실은 오직 내 덕으로 향기 나니
苔痕上階綠 草色入簾靑 (태흔상계록 초색입렴청)
이끼는 계단 위로 푸르고 풀빛은 발에 들어 파랗다.
談笑有鴻儒 往來無白丁(담소유홍유 왕래무백정)
담소할 때 호탕한 선비가 있고 왕래할 때 천한 사람은 없다.
可以調素琴 閱金經(가이조소금 열금경)
소박한 거문고는 고를 만하고, 금광명경은 읽을 만하다.
無絲竹之亂耳 無案牘之勞形(무사죽지난이 무안독지노형)
관현악은 귀를 어지럽히지 않고, 관청의 서류로 몸을 수고롭게 하지 않는다.
南陽諸葛廬 西蜀子雲亭(남양제갈려 서촉자운정)
남양 제갈량의 초가집이나 서촉 양자운의 정자!
孔子云 何陋之有(공자운 하루지유)
공자가 이른 대로, 무슨 누추함이 있겠는가.
-유우석(劉禹錫)의 누실명(陋室銘 : 누추한 집에 부쳐)
유우석(772~842)
유우석은 중당(中唐) 때의 유명한 시인. 자는 몽득(夢得)이고 낙양(洛陽 : 지금의 河南省 洛陽)사람. 정원 9년(貞元, 793년)에 당송 8대가의 중 한사람인 유종원(柳宗元)과 함께 진사시에 합격하고 유종원과 대단히 절친한 사이를 유지. 왕숙문(王叔文) 유종원(柳宗元) 등과 동당(同黨)하여 개혁운동에 참여, 신진 실세로 군림하다 구세력(환관세력)에 밀려 1년도 못돼 개혁운동은 좌절(806년 원화 원년). 주축이던 왕숙문은 죽임을 당하고 시인을 위시한 유종원 등은 지방 하급 관리인 사마(司馬)로 좌천. 뒤에 풀려난 적이 있었고, 유종원 사후(819년)에는 백거이(白居易)와 친밀히 지내며 많은 시를 지음.
특히 그의 시는 그 풍격이 통속적이지만 청신하여 민요풍의 정조와 언어를 잘 이용한 시인으로 손꼽는다. 작품집으로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이 있음.(퍼 온 글)
*글씨 평: 글씨들이 모두 수수하다. 솜씨를 그리 뽐내지도 않았다. 그래서 글씨들이 담고 있는 의미가
더욱 빛나 보인다.
'한문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철의 한시 (0) | 2011.04.04 |
---|---|
쟝루이펑의 글씨(39) (0) | 2011.04.02 |
쟝루이펑의 글씨(37) (0) | 2011.04.01 |
쟝루이펑의 글씨(36) (0) | 2011.03.31 |
쟝루이펑의 글씨(35) (0) | 201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