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탐방

천연기념물 탐방 12

시조시인 2012. 9. 11. 18:46

[12차 탐방]

탐방일 : 2012. 9. 8 () ~9. 9 ()

탐방지역 : 전북 고창 지역

 

 

                                (사진 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삼인리 송악

 

 

 

 김 재 황

 

 

 

 

뜨거운 숨소리가 다시 내 귀를 당기는

 낭떠러지 바위벽을 타고 오른 모습이여

    삶이란 오직 한 가지 나아감에 뜻이 있네.

 

 아무리 힘들어도 한 번 잡으면 못 놓는

 손과 가슴 얽어매듯 뻗어 나간 그물이여

    세월도 갈 길 멈추고 네 앞에서 넋을 잃네.

 

 

 

                   : 201298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367

 

 

 

 

<탐방 제 24> 고창 삼인리 송악

0 천연기념물 제 367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17-1

0 지정일 : 1991. 11. 27

 

송악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늘 푸른 덩굴식물로 줄기와 가지에서 氣根인 뿌리가 나와서 암석 또는 다른 나무 위에 붙어 자란다. 잎은 광택이 있는 진한 녹색이고 꽃은 10월에 녹색으로 피며, 열매는 다음해 5월에 둥글고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 및 섬지방의 숲속에서 주로 자라고 있다. 송악이 자라는 이곳은 선운사로 들어가는 길의 입구 부근으로 그곳에 溪流가 흐르고 있고 계류 건너편은 절벽에 가까운 산자락인데 한 그루의 송악이 이 절벽을 타고 위로 올라가면서 많은 가지를 分枝시키고 있다. 그 지형이 사람이 접근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호수로서는 천혜의 조건을 갖췄다고 하겠다. 뿌리로부터 뻗어 올라가면서 갈라진 줄기는 흡사 그물을 연상시킨다. 정확한 나이는 알 수 없으나 크기로 보아서 적어도 수백 년은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고창 삼인리의 송악은 그 크기가 보기 드물 정도로 크고, 이곳은 송악이 내륙에서 자랄 수 있는 북방한계선에 가까우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글: 자은 백승돈)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삼인리 장사송

 

 

     김 재 황

 

 

 

가슴에 신바람을 지니고 산다는 걸

누구나 너를 보면 단박에 느끼겠다,

     부챗살 활짝 펴듯이 돌려 세운 가지들.

 

과거를 알아야만 미래도 안다는 걸

네 주위 둘러보면 한눈에 깨닫겠다,

    가까이 동굴 하나가 소곤대는 얘기들.

 

 

 

                           주: 201298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354호

 

 

 

 

 

<탐방 제 25> 고창 삼인리 장사송

0 천연기념물 제 354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97

0 지정일 : 1988. 4. 30

 

고창 삼인리의 장사송은 고창 선운사에서 도솔암으로 올라가는 길가에 있는 진흥굴 바로 앞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의 나이는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3m에 가슴높이의 둘레는 3.07m이고 가지의 길이는 동·서쪽이 13.0m에 남·북이 14.5m이다. 높이 3m 정도에서 줄기가 크게 세 가지로 갈라져 있고, 그 위에서 다시 여러 갈래로 갈라져 부챗살처럼 퍼져 있다. 이 소나무는 변종인 반송으로 알려지고 있다. 생육공간은 충분하고 나무를 보호하는 철책 울타리도 견고하게 잘 둘려져 있다. 철책 안에는 長沙松이라고 새긴 석비가 놓여 있고 비석의 뒷면에는 이 고장의 명망 있는 유지들이 생색내기 식의 사연들을 새겨 놓았다. 고창 사람들은 이 나무를 장사송또는 진흥송이라고 하는데, 장사송은 이 지역의 옛 이름이 장사현이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며, 진흥송은 옛날 진흥왕이 수도했다는 진흥굴 앞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고창 삼인리의 장사송은 오랫동안 조상들의 보살핌을 받아 왔으며, 나무의 모양이 아름답고 생육상태가 양호하며 보기 드물게 오래된 소나무로서 보존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글: 자은 백승돈)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삼인리 동백나무숲

 

김 재 황

 

 

          서로 몸을 의지해서 겨울바람 막아내고

           새봄이면 어김없이 붉은 꽃들 피워내는

          묵묵히 푸른 참을성 굳게 안고 사느니.

 

             가문 날이 계속되면 가지들이 우거져서

             혹시 산불 일어날까 뜬눈으로 지새우는

            찬찬히 깊은 믿음성 잃지 않고 사느니.

 

 

 

                           : 201298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184

     

 

 

 

     

 

 

 

 

 

<탐방 제 26> 고창 삼인리 동백나무숲

0 천연기념물 제 184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68

0 지정일 : 1967-02-11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워서 유행가에도 자주 등장한다.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春栢, 秋栢, 冬栢으로 부르는데 이것은 춘백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 동백나무숲은 백제시대 선운사가 세워진 후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선운사 뒤쪽 산자락 비탈 아래쪽에 동백나무숲이 帶狀으로 발달해 있는데 그 폭이 약 30m에 이르고 있다. 선운사 경내와 동백나무숲 사이에는 철망으로 담장이 쳐 있어서 숲 안으로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고 따라서 보호가 잘 되고 있다. 평균 수고는 약 6m에 이르고 밀도가 높아서 하부식생의 발달은 빈약한 편이다. 이 숲의 동백나무 중 큰 것은 뿌리목줄기 직경이 80쯤에 가슴높이 줄기 직경은 30쯤을 이르는 것이 있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아름다운 사찰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방화 등 사찰보호림으로서의 문화적 가치 및 오래된 동백나무숲으로서의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글: 자은 백승돈)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수동리 팽나무

 

 

 

    김 재 황

 

 

   남쪽 섬 바닷가에 팔 벌리고 사는 나무

        꽤 알려진 별명까지 기세 좋게 포구나무

    그런데 너는 왜 그리 언덕 위에 있느냐?

 

       알고 보면 낮은 곳은 그 모두가 간척지로

     예전에는 턱 밑까지 바닷물이 들었다니

       너 또한 네 몫 했음을 말 안 해도 알겠다.

 

 

               

 

                                                주: 201298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494

 

 

 

 

<탐방 제 27> 고창 수동리 팽나무

0 천연기념물 제494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446번지 외

0 지정일 : 2008430

 

팽나무는 포구나무또는 폭나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흔히 浦口 가에서 잘 자라기 때문인 듯하다. 이 나무는 8월 보름에 당산제와 줄다리기 등 민속놀이를 벌이면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던 당산나무였다. 지금은 그 일대가 드넓은 농경지가 되었으나 마을 앞 간척지 매립 전에는 팽나무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배를 묶어 두었던 나무라고 한다. 그만큼 팽나무는 내염성이 강한 수종이기도 하다. 桑田碧海란 말이 있긴 하지만 벽해가 옥답이 되는 격변을 겪으면서 오랜 세월 동안 이 마을과 함께해 온 역사성이 깊은 나무이다. 이 나무의 수령은 400여년으로 추정되며 수고 12m, 가지퍼짐 너비 25m, 흉고둘레 6.5m로서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팽나무들 중에서는 가장 크며 수형이 아름답고 수세가 좋은 편이어서 팽나무 종을 대표할 만하다. 특히 나무 둥치의 우람한 근육질 모습에서는 강인한 생명력을 느끼게 하고,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르고 바둑 삼매경에 몰입하는 허연 신선들이 둘러앉아서 쉴 만한 노거수의 면모를 갖추었다.(글: 자은 백승돈)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김 재 황

 

 

 

                 서귀포 살 때에 벗한 네 살붙이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 눈시울 젖어들고 마는구나!

                 여름내 말매미들이 그 몸 잡고 흔든 울음.

 

                 무엇 때문에 이렇게 넌 북상을 하였는가?

                 게다가 군청 마당에 자리를 잡고 사는가?

                 어쩌면 하소연할 게 있는지도 모르는 일.

 

 

 

                                                                      주: 201299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503

              

 

 

<탐방 제 28>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0 천연기념물 제 503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중앙로 245, (고창군청앞)

0 지정일 : 2009916

 

멀구슬나무는 쥐손이풀목 멀구슬나무과의 낙엽교목이며 5월에 꽃이 피고 9월에 노란색 열매가 익어서 겨울까지 달려 있다. 가로수와 정원수로 이용되며 열매는 이뇨제와 구충제로 이용되어 우리나라의 전통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수령은 약 200년이며 줄기가 여러 개로 갈라졌고 수형이 잘 정돈되어 있다.

이 나무는 멀구슬나무 중 가장 규격이 크고 나이도 많은 편이며, 비교적 북쪽에서 자라는 유일한 노거수로서, 학술적 가치는 물론이고 전통 생활에 밀접한 우리나라의 멀구슬나무를 대표하는 보존가치가 있다. 멀구슬나무는 즙을 내어 농사용 살충제로, 열매는 약과 염주로, 목재는 간단한 기구를 만들었으며,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시에도 등장할 만큼 남부지방에서는 흔히 심어 가꾸며 선조들의 생활과 함께한 나무이다. 그러나 이 나무도 얼마 전 사납게 휘몰아치고 지나간 태풍 볼라벤의 피해를 입어 크고 작은 가지가 부러지는 화를 당했다.(글: 자은 백승돈)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김 재 황

 

 

 

                                         꽃이 쌀밥을 수북이 담은 듯이 피어나면

                                         그해 농사는 풍년을 꼭 이루게 된다는데

                                         한여름 거센 바람에 그만 넋을 놓았다.

 

                                         쓰러지지 않은 것만 다행으로 여길 건가

                                         추레해진 차림새로 멍하니 먼 하늘 보는

                                         그 얼굴 마주하자니 나도 마음 쓰리다.

 

 

 

 

                                : 201299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183

                         

 

 

 

<탐방 제 29>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0 천연기념물 제 183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313-1

0 지정일 : 1967-02-11

 

이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落葉喬木이고 가지는 회갈색이며 어릴 때 잔털이 있다. 잎은 對生하고 타원형이나 난상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것은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경에 피며 純白色이고 새 가지 끝에서 자라는 원추상 화서에 달린다. 열매길이는 1~1.5로서 9~10월경에 검은 하늘색으로 익는다.

이팝나무란 이름의 유래와 꽃이 피는 모습으로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는 이야기 등은 이미 11차 탐방에서 찾아본 함평 양재리 이팝나무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 있다. 이 나무는 나이가 약 25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0.5m에 가슴높이 둘레 2.68m이고 높이 1.5m에서 여섯 개의 가지로 분지되어 있다. 중산리 마을 앞의 낮은 지대에 홀로 자라고 있는데, 나무의 모습은 가지가 고루 퍼져서 자연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수세가 매우 쇠약해 보이기에 천연기념수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가 어렵지 않겠는가 여겨진다. 이 나무 지척 거리에 하수도 集水槽가 설치되어 있는데, 토목 공학적 식견이 있는 지목의 견해로는 그것을 설치하면서 그 일대를 파헤쳤기 때문에 이 나무의 뿌리를 상한 게 바로 그 원인이라고 한다.(글: 자은 백승돈)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김 재 황

 

 

                            청량산 중턱까지 진을 친 오백여 그루

                            무리를 이끄는 듯 앞장서는 노거수들

                            둥둥둥 먼 북소리가 이명으로 들려온다.

 

                             하늘이 높아지고 시린 바람 불어오면

                             비로소 그 때에야 이 싸움이 끝날 텐데

                             단풍의 물든 아픔은 목탁으로 달랠지.

 

 

                                                                                  주: 201299일 촬영

                                                                                         천연기념물 제463

    

 

<탐방 제 30>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0 천연기념물 제463

0 소재지 : 전북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산 190-1

0 지정일 : 200599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숲은 淸凉입구에서부터 중턱에 자리한 文殊입구까지의 진입도로 약 80m 좌우측 일대에 수령 100년에서 400년으로 추정되는 단풍나무 500여 그루가 자생하고 있는 숲이다. 이 숲의 단풍나무 크기는 직경 30~80에 수고 10~15m 정도이며, 특히 흉고둘레 2m 이상 2.96m에 이르는 단풍나무 노거수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문화재 구역 120,065내에는 단풍나무 노거수 외에도 고로쇠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상수리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등의 노거수들이 혼재하고 있으며, 亞 喬木층과 灌木층에는 사람주나무, 산딸나무, 물푸레나무, 쪽동백, 쇠물푸레나무, 박쥐나무, 작살나무, 초피나무, 고추나무, 쥐똥나무 등이 나타나고, 아울러 조릿대 군락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 곳 단풍나무숲은 문수사의 사찰림으로 보호되어 현재에 내려오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단풍나무숲으로 천연기념물로써 가치가 있으며, 문수산의 산세와 잘 어우러져 가을철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로 경관적인 가치 또한 뛰어나다.(글: 자은 백승돈)

 

* 그 외에 천연기념물 추천 나무들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산수리 소나무

 

                                            김 재 황

 

 

                       살기 좋은 방축마을 나와 서서 자랑하는

                       그 손짓 못 뿌리치고 그 앞으로 다가가니

                       할머니 여윈 몸으로 내 맘 와락 잡는다.

 

                       지나는 차도 뜸하고 행인조차 드문 길가

                       바람 불면 쓰러질 듯 반쯤 기운 몸이지만

                       할머니 높은 나이로 마을 홍보 나섰다.

 

 

 

                                                                               주: 201299일 촬영

                                                                                    고창군 보호수 9-14-8-1

 

 

***고창군 보호수

 

 

위치: 성송면 산수리 43

수종: 소나무

고유번호: 9-14-8-1

지정일자: 1993. 4.8

수령: 269년(2006년 7월 현재)

수고: 6 미터

나무둘레: 2.7 미터

 

 

 

                                                                                                        (사진촬영: 지목 이정민)

 

 

 

 

                                 고창 상평리 느티나무

    

                                                김 재 황

 

 

                           삼백 살 가까운 나이 그냥 먹지 않았을 터

                           우람한 줄기를 보면 기가 팍 질리게 될 뿐

                           때마다 막걸리 몇 말 대접 받고 살았겠다.

 

                           너무 자신 믿다 보면 이런 일도 다 있는지

                           지난 번 거센 태풍에 큰 가지 뚝 꺾였으니

                           그 상처 아물기까지 오랜 세월 걸리겠다.

 

 

 

 

 

            : 201299일 촬영

                     고창군 보호수 9-14-2-2

    

 

 

 ***고창군 보호수

 

위치: 고수면 상평리 150

수종: 느티나무

고유번호: 9-14-2-2

지정일자: 1982. 9. 20

수령: 291년(2006년 7월 현재)

수고: 20 미터

나무둘레: 3.5 미터

 

 

 

[탐방별기]

 

12차 고창지역 탐방에 나서는 98일은, 가을의 초입인 백로 절기였고 아침나절엔 궂은비가 내렸으나 고속도로를 타고 南行하는 가운데 오후엔 날이 활짝 개었다. 비 온 뒤에 갠 하늘엔 여기 저기 뭉게구름이 기묘한 형상으로 피어올라서 春水 滿四澤이요, 夏雲 多奇峯이라하는 구절이 절로 읊조려진다.

 

이번 탐방에는 북악산/안암골에서 동문수학한 孤觸 梁敏男 동문이 동행하였다. 고촉은 우리 학과(61학번) 동창회인 <參木會>의 회장을 맡아 수고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3인의 천연기념수 탐방행각을 동창들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도 될 듯싶다. 우리 4인은 제기동에서 만나 지목의 차로 출발하였고 쉬엄쉬엄 차를 몰아 6시간 만에 목적지 고창에 당도하였다.

 

고창군 내에는 천연기념수가 일곱이나 있다. 우리는 그중 셋이 몰려 있는 선운사 지역으로 향했다. 사찰로 들어가기 전 초입 유원지에서 계곡 가의 절벽에 우거진 송악을 쉽게 만났고 좀 산속으로 깊게 들어가야 하는 삼인리 장사송을 찾아가기 위해 유원지 정문의 젊은 안내원에게 물으니 그곳은 차로 갈 수 없고 한 시간쯤 걸어 들어가야 한다고 퉁명스럽게 대꾸한다.

 

차를 주차해 놓은 후에 십리길 산행을 각오하고 신발 끈을 동여맸으나 또 다른 유원지 안내원인 듯한 中年의 사람이 차를 타고 들어갈 수 있다고 알려준다. 결국 산속 깊숙이 차를 몰고 들어가서 장사송을 볼 수 있었기에 금후 그곳을 탐방할 뜻이 있는 이가 있다면 무뚝뚝해 보이는 유원지 정문 문지기의 말은 곧이듣지 마시기 바란다.

 

깊은 산속의 삼인리 장사송 뒤편의 산자락에는 진흥왕이 수도 한 곳이라는 <진흥굴>이 있는데 굴속으로 들어가 보니 名聲에 비해서는 너무 초라하다. 原狀을 보존한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굴 내부는 물론이고 굴 외부 주변을 좀더 美化하고 整備할 수도 있으련만 썰렁하고 황량한 모습이어서 아쉬움이 좀 있었다.

 

선운사 경내의 동백나무 군락을 찾아보고 좀 멀리 떨어진 수동리 팽나무를 찾아가는데 큰 길에서의 진입로 표시는 잘 되어 있었으나 그 후 유도표시가 없었기에 물어볼 사람도 없는 허허 벌판에서 좀 헤매기도 하였다.

 

그 다음 탐방 목표인 군청 앞마당의 멀구슬나무를 보러 가는데 군청 주소를 네비게이터에 입력하고 찾아가니 읍 중심지로 유도되어 다 왔다고 안내를 종료하는 곳에 커다란 건물이 있었다. 그것이 군청이려니 심증은 가지만 군청 표지 간판이 없다. 앞마당의 천연기념수인 멀구슬나무도 지난 태풍에 가지가 부러졌기에 군청 간판도 태풍에 잠시 어디로 날아간 건 아닐까 하는 짓궂은 생각도 해 보게 된다.

 

읍 중심가에 숙소를 정하고 모텔 주인에게 이 고장 맛집을 소개하라고 하여 천변의 복국집을 찾아 들어가서 반주를 곁들이어서 저녁을 먹었다. 어머니가 業主이고 아들이 복어 요리사인 모자가 운영하는 식당인데 어머니가 젊게 보여서 오누이 같기도 하고 때로는 부부로도 오해를 받는다고 한다. 女主가 붙임성이 있어서 음식 맛에 보태어 풋풋한 인간미를 느끼게 하는 괜찮은 곳이었다. 입가심 감으로 맥주 몇 병을 사 들고 숙소로 돌아온 다음, 우리 4인은 밤이 늦도록 정담을 나누었다.

 

고창군에는 천연기념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지만 그 외에도 보호수급 노거수가 여기저기에서 눈에 띈다. 고수면 상평리의 느티나무 그루, 성송면 산수리의 적송 등은 수령이 근 300년을 헤아리고 수형도 미려하고 건장해 보여서 언젠가는 천연기념수의 반열에 오를 만한 노거수들이다. 우리가 서울 넘버가 달린 차를 타고 나타나서 사진을 찍어대니 그곳 동네사람들이 몰려들어 얼마 전에 불어 닥친 볼라벤 태풍의 피해 조사팀이 중앙에서 내려온 것쯤으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중 장로격인 촌로에게 오해가 없도록 좋은 말로 위로를 건넸다.

 

문수사 단풍나무 숲을 찾아가게 되니 자연스레 문수사 경내를 들어가 보게 되었다. 문수사는 신라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의 계율을 깨닫고 돌아와서 창건했다는 천년 고찰이다. 어느 절에나 한 쪽 구석에는 반드시 산신각이 있게 마련인데 그 유래를 녹시가 설명한다. 불교가 이 땅에 전래되면서 토착 민간신앙의 대상인 산신령과 마찰을 피하기 위해 절간 一隅에다가 산신에게 일정 공간을 마련해 준 것이라 한다. 일종의 懷柔 제스처인 셈이다.

 

문수사에 이르는 길 좌우 산간은 물론이고 사찰 境內外에도 온통 단풍나무 일색이어서 늦가을 단풍철이 되면 장관을 이룰 듯하다. 생각컨대 시인 김영랑이 "오메, 단풍 들것네.”라고 읊은 시 구절이 아마 여기와도 무관치 않을 듯싶은 생각이 든다.

 

행락객의 귀경 러시 전에 서둘러 귀경길에 올라서 늦은 오후 시간에 서울로 돌아왔고 우리 4인은 의 답십리 병천 순대집에서 뒤풀이를 하였다. 거나해진 김에, 100일 앞으로 다가왔으나 아직도 오리무중인 대선 국면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亂刀를 쳐 보기도 하고 좀 민감한 대북 문제를 놓고도 左右偏向의 다른 視覺으로 을 나누다가 豊收12차 고창 탐방을 마무리 짓고 헤어졌다.(글: 자은 백승돈)

  

 

'천연기념물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 탐방 14  (0) 2012.11.27
천연기념물 탐방 13  (0) 2012.10.31
천연기념물 탐방 11  (0) 2012.08.20
천연기념물 탐방 10  (0) 2012.07.29
천연기념물 탐방 9  (0) 201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