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28장
그 수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키면
그 수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키면 하늘 아래 ‘산골 물’이 된다. 하늘 아래 ‘산골 물’이 되면 늘 그러한 베풂이 떠나지 않아서 갓난아기로 다시 돌아간다.
그 ‘흼’을 알고 그 ‘검음’을 지키면 하늘 아래 본보기가 된다. 하늘 아래 본보기가 되면 늘 그러한 베풂이 어긋나지 않아서 ‘끝이 닿은 데가 없음’으로 다시 돌아간다.
그 ‘이름 남’을 알고 그 ‘부끄럽게 됨’을 지키면 하늘 아래 골짜기가 된다. 하늘 아래 골짜기가 되면 늘 그러한 베풂이 곧 넉넉하여서 ‘통나무 같은 수수함’으로 다시 돌아간다.
‘통나무 같은 수수함’이 쪼개어져서 마침내 그릇이 되니, ‘거룩한 이’가 써서 마침내 ‘고을의 어른’으로 삼는다. 그 까닭에 ‘큰 지음’은 갈라서 찢지 않는다.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爲天下式 常德不忒 復歸於無極. 知其營 守其辱 爲天下谷.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樸. 樸散則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不割
(지기웅 수기자 위천하계. 위천하계 상덕불리 복귀어영아. 지기백 수기흑 위천하식. 위천하식 상덕불특 복귀어무극. 지기영 수기욕 위천하곡. 위천하곡 상덕내족 복귀어박. 박산즉위기 성인용지 즉위관장. 고대제불할)
[뜻 찾기]
‘위천하계’(爲天下谿)에서 ‘계’는 ‘시내’ ‘개울’ ‘텅 비다’ ‘산이 모인 곳’ ‘산골짜기’ 등의 뜻을 지닌다. 그래서 나는 ‘개울’과 ‘산골짜기’를 합하여 ‘산골 물’이라고 했다. 이는, ‘물이 골짜기로 모여들 듯, 만물이 귀착되는 길(道)의 상태’를 말한다고 한다.
‘위천하식’(爲天下式)에서 ‘식’은 제22장에서와 같이 ‘본보기’로 했다. 그러나 글의 쓰임에 따라 ‘위’는 ‘~가 된다.’라는 뜻으로 풀었다. 그리고 ‘상덕불특’(常德不忒)에서 ‘특’은 ‘틀리다’ ‘어긋남’ ‘변하다’ ‘새롭게 변함’ ‘의심하다’ ‘매우’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어긋남’을 골랐다. 또, ‘복귀어무극’(復歸於無極)에서 ‘무극’은 ‘극’을 ‘끝’으로 보고 ‘끝닿은 데가 없음’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무극’은, ‘무(無)가 궁극인 상태’ 또는 ‘천지가 있기 이전의 상태’, 다시 말해서 ‘길(道)의 시원(始元)’을 가리킨 것이라고 한다.
‘복귀어박’(復歸於樸)의 ‘박’은 앞의 장들에서 여러 번 나온 글자이다. 노자는 이 글자를 매우 좋아하였던 것 같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 뜻을 마음껏 풀어서 ‘통나무 같은 수수함’이라고 했다.
‘대제불할’(大制不割)에서 ‘제’는 ‘마르다’ ‘짓다’ ‘만들다’ ‘정하다’ ‘억제하다’ ‘금하다’ ‘부리다’ ‘바로잡다’ ‘법도’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짓다’를 선택했다. 그리고 ‘할’은 ‘나누다’ ‘쪼갬’ ‘가르다’ ‘갈라서 찢음’ ‘빼앗다’ ‘해치다’ ‘손상함’ ‘자르다’ ‘끊음’ ‘재앙’ ‘불행’ ‘비율’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갈라서 찢음’을 택했다. 일반적으로 ‘대제불할’은 ‘참으로 위대한 제단(制斷)은 인위적인 손질을 가하지 않는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나무 찾기]
‘지기영 수기욕’(知其營 守其辱, 그 ‘이름 남’을 알고 그 ‘부끄럽게 됨’을 지키다.)이라는 구절에서 나는 ‘팔손이나무’(Fatsia japonica)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정말이지, 팔손이나무야말로 ‘부끄럽게 됨’을 지키는 나무이기 때문이다.
엄지손가락이 없는 손을 하늘에 벌린다.
태어난 그 생김새 숨기지 않고 보이는
그 착한 손바닥마다 빛이 가득 담기는데.
꽃이야 하얗지만 검게 열매를 익히고
늘푸른잎들로 살짝, 시린 세상을 엿보면
저 아래 바닷가에서 파도소리 다가온다.
-졸시 ‘팔손이나무’ 전문
여덟 개밖에 안 되는 손가락을 보라는 듯이 내보이고 있는 팔손이나무는 분명히 ‘부끄럽게 됨’을 지키는 나무라고 아니할 수 없다. 팔손이나무는, ‘잎이 갈라지는 모양이 손가락 여덟 개가 달린 모양이기 때문’에 그 이름을 얻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일곱 갈래의 잎도 있고 아홉 갈래의 잎도 보인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0장, 길로써 임금을 돕는 사람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2 |
---|---|
제29장, 앞으로 어느 때 하늘 아래를(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1 |
제27장, 잘 가는 것은 지나간 자국이 없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1 |
제26장,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0 |
제25장, 섞여서 이루어진 것(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