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29장
앞으로 어느 때 하늘 아래를
앞으로 어느 때 하늘 아래를 얻고자 하여 ‘함’이 있다면, 나는 그 ‘이루지 못하고 말게 됨’을 볼 뿐이다.
하늘 아래는 알 수 없는 그릇이므로 ‘함이 있음’은 옳지 않다. ‘함이 있는 사람’은 지게 되고, ‘잡고자 하는 사람’은 잃게 된다.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물건’은, 어느 것은 앞서서 가기도 하고 어느 것은 뒤따르기도 하며, 어느 것은 가늘게 숨을 내쉬기도 하고 어느 것은 크게 숨을 내뿜기도 하며, 어느 것은 굳세기도 하고 어느 것은 파리하기도 하며, 어느 것은 실리기도 하고 어느 것은 무너뜨리기도 한다.
그러므로 ‘거룩한 이’는 ‘지나침’을 버리고 ‘자랑함’을 버리며 ‘큼직함’을 버린다.
將欲取天下而爲之 吾見其不得已. 天下神器 不可爲也. 爲者敗之 執者失之 凡物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載或隳. 是以聖人 去甚 去奢 去泰
(장욕취천하이위지 오견기부득이. 천하신기 불가위야. 위자패지 집자실지 범물혹행혹수 혹허혹취 혹강혹리 혹재혹휴. 시이성인 거심 거사 거태)
[뜻 찾기]
‘오견기부득이’(吾見其不得已)에서 ‘부득이’는 지금의 우리가 아는 뜻으로는 ‘하는 수 없이’나 ‘마지못하여’이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부득이’는 ‘이루지 못하고 만다.’라는 의미라고 한다. 고전은, 지금의 말로 풀이되면 안 된다는 게 나의 생각이다. 그래서 나는 후자를 따랐다.
‘신기’(神器)는 글자 그대로 ‘신비한 그릇’이다. 그런데 ‘신비하다’는 게 무슨 뜻이냐고 물으면 정확하게 할 말이 없다. 그래서 나는 ‘알 수 없다’라고 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말은, ‘천하는 인간의 계획을 초월한 불가사의한 존재’라는 의미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신기’가 ‘천도와 인심’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또, ‘범물’(凡物)은, 다른 기록에 ‘고’(故)와 ‘물’(物)로 나와 있기도 하다. 그러나 ‘범물’은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물건’을 말한다. 노자의 생각을, 내 나름으로 짚어서 그와 같이 풀어 보았다. 그리고 ‘혹행혹수’(或行或隨)에서 ‘혹’은 ‘어느 것은’이라는 뜻이므로 그대로 썼다. ‘행’은 뒤의 ‘수’에 맞추어서 ‘앞서서 간다’라고 했다. ‘수’는 ‘따르다’ ‘거느리다’ ‘따라서’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따르다’를 골랐다. 원래 이 ‘수’라는 글자는 ‘흙이 부서져 내리듯 긴장이 풀어진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 또, ‘혹허혹취’(或歔或吹)에서 ‘허’는 ‘숨을 가늘게 내쉬는 것’을 가리키고 ‘취’는 ‘숨을 크게 내뿜는 것’을 이른다고 한다. 그리고 ‘혹강혹리’(或强或羸)에서 ‘리’는 ‘여위다’ ‘파리하다’ ‘고달프다’ ‘지치다’ ‘피로하다’ ‘약하다’ ‘앓다’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파리하다’를 골랐다. 또, ‘혹재혹휴’(或載或隳)에서 ‘휴’는 ‘무너뜨리다’ ‘무너짐’ ‘깨뜨리다’ ‘깨짐’ ‘쓸모없게 되다’ ‘쇠퇴함’ ‘위태하다’ 등의 여러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무너뜨리다’를 택했다.
‘거심’(去甚)에서 ‘심’은 ‘심하다’ ‘더욱’ ‘무엇’ ‘매우’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 중의 ‘심하다’를 골라서 ‘지나침’이라고 풀었다. 그리고 ‘거사’(去奢)에서 ‘사’는 ‘사치하다’ ‘호사’ ‘자랑하다’ ‘과장함’ ‘오만하다’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선뜻 ‘자랑하다’를 골랐다. 또, ‘거태’(去泰)에서 ‘태’는 ‘크다’ ‘넉넉하다’ ‘편안하다’ ‘너그럽다’ ‘풍요하다’ 등의 뜻이 있다. 그중에서 나는 ‘크다’를 골랐으나, ‘태’(太)와 구별하기 위해 ‘큼직함’이라고 했다.
[나무 찾기]
‘혹강혹리 혹재혹휴’(或强或羸 或載或隳, 어느 것은 굳세기도 하고 어느 것은 파리하기도 하며, 어느 것은 실리기도 하고 어느 것은 무너뜨리기도 한다.)에서 나는 금방 ‘자작나무’(Betula latifolia)를 떠올린다. 자작나무는, 굳센 면도 있고 파리한 면도 있으며, 싣기도 하고 무너뜨리기도 한다.
명주로 몸을 감아 가벼운 차림을 하고, 아프게 벗겨지는 희열로 눈을 빛내며, 투명한 저 먼 하늘에 나그네로 뜨는 맘.
허공에 매달리는 소망은 한이 없어도, 늘어진 이삭 끝에 고고한 운이 열리고, 날개를 펴 든 자리로 스며드는 향수여.
숨차게 넘어야 할 귀가 시린 고개들을, 성긴 가시로 올라서 꿈과 함께 잠이 들면, 서북풍 모진 미움도 매듭 풀고 돌아선다.
-졸시 ‘자작나무’ 전문
자작나무는, 그 껍질이 잘 벗겨진다. 그런데 그 나무껍질을 태울 때 ‘자작자작’하는 소리를 내며 잘 탄다. 그 때문에 그 이름을 얻었다.
자작나무는 문학 속에 많이 등장하는 나무이다. 무엇보다 나무껍질이 하얀빛으로 깨끗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 아닌가 여겨진다. 이 하얀 자작나무의 껍질은 종이처럼 얇으며 가로로 벗겨진다. 벗겨진 이 나무껍질을 보면 바깥쪽은 흰빛이지만 안쪽은 갈색을 띠고 있다. 다시 말해서 흰 껍질은 여러 겹의 얇은 종이를 붙여 놓은 듯이 차곡차곡 붙어 있다. 그래서 한 장 한 장이 매끄럽고 잘 벗겨진다. 그것에 종이 대신으로 불경을 새기거나 그림을 그렸다고도 전한다. 게다가 껍질에는 썩는 것을 막아주는 성분이 들어 있다고 한다. 즉, 이 나무의 껍질 속에는 ‘큐틴’(cutin)이라는 방부제가 다른 나무보다 많이 들어 있다. 그렇기에 잘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곰팡이도 잘 피지 않는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사용하는 ‘카누’(canoe)는 가볍고도 튼튼한 나무의 틀 위에 자작나무 껍질을 바르고 나무의 진으로 방수했다고 한다. 그 지혜가 놀랍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1장, 무릇 훌륭한 '칼이나 활'이라는 것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2 |
---|---|
제30장, 길로써 임금을 돕는 사람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2 |
제28장, 그 수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키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1 |
제27장, 잘 가는 것은 지나간 자국이 없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1 |
제26장,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