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27장
잘 가는 것은 지나간 자국이 없고
잘 가는 것은 지나간 자국이 없고, 잘 말하는 것은 꾸짖을 잘못이 없으며, 잘 셈하는 것은 산가지와 ‘대쪽으로 만든 책’이 쓰이지 않고, 잘 닫은 것은 빗장이 없으나 열 수 없으며, 잘 묶은 것은 밧줄을 쓰지 않았지만 풀 수가 없다.
그러므로 ‘거룩한 이’는 늘 그러하게 사람을 잘 찾는다. 그 까닭에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 늘 그러하게 물건을 잘 고친다. 그 까닭에 물건을 버리지 않는다. 이를 가리켜서 ‘밝음을 잇는다.’라고 일컫는다.
그 까닭에 착한 사람은 착하지 않은 사람의 스승이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착한 사람의 바탕이다. 그 스승을 값지게 여기지 않고 그 바탕을 아끼지 않으면 비록 슬기롭다고 하여도 크게 헷갈리게 된다. 이를 가리켜서 ‘뛰어남을 얻는다.’라고 일컫는다.
善行無轍迹 善言無瑕讁 善數不用籌策 善閉無關楗而不可開 善結無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常善求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是謂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선행무철적 선언무하적 선수불용주책 선폐무관건이불가개 선결무승약이불가해. 시이성인상선구인. 고무기인. 상선구물. 고무기물. 시위습명. 고선인자 불선인지사. 불선인자 선인지자. 불귀기사 불애기자 수지대미. 시위요묘)
[뜻 찾기]
‘무철적’(無轍迹)에서 ‘철적’은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을 말한다. 그리고 ‘불용주책’(不用籌策)에서 ‘주’는 ‘산가지’ ‘산대’ ‘살’ ‘꾀’ ‘계책’ ‘세다’ ‘헤아림’ ‘심지’ 등을 가리키고 ‘책’은 ‘꾀’ ‘꾀함’ ‘채찍’ ‘지팡이’ ‘대쪽 책’ ‘문서’ ‘명령서’ ‘적다’ ‘세우다’ ‘점대’ ‘수효’ 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두 글자를 붙여서 ‘주책’이라고 쓰는데, ‘이해관계를 헤아려 생각한 꾀’라고 풀이한다. 그러나 나는 이를 두 글자로 나누어서 풀었다. 여기에서 ‘산가지’는 ‘옛날에 셈할 때 사용하던 대나무 산가지’이다. 또, ‘무승약’(無繩約)에서 ‘승약’은 ‘밧줄로 묶음’을 말한다. 그러나 나는 그저 ‘밧줄을 쓰는 것’으로 했다.
‘시위습명’(是謂襲明)에서 일반적으로 ‘습’은 ‘안에 입은 옷을 덮기 위하여 겉에 입는 옷’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습명’은 ‘겉에 드러나지 않은 밝음’ 또는 ‘밝은 베풂(德)을 지님’이라고 풀이한다. 다시 말해서 ‘겉을 덮는 밝음’이니 ‘거룩한 이에게서 무위자연의 길에 따른 밝은 지혜가 외면에 드러나지 않는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저 ‘밝음을 잇는다.’라고 풀었다. 왜냐하면 ‘습’은 ‘엄습하다’ ‘덮치다’ ‘계승하다’ ‘잇다’ ‘염습하다’ ‘옷을 껴입다’ ‘벌’ 등의 뜻을 지니기 때문이다.
‘선인자’(善人者)와 ‘불선인자’(不善人者)는, ‘자’ 자가 빠져서 ‘선인’과 ‘불선인’으로 되어 있는 기록도 있다. 그래서 나도 ‘자’ 자를 빼고 풀이했다. 그리고 ‘선인지자’(善人之資)에서 ‘자’는 ‘재물’ ‘밑천’ ‘자본’ ‘비용’ ‘장사’ ‘쌓다’ ‘바탕’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바탕’을 골랐다. 그러나 일반적인 풀이로는 ‘도움이 되는 근거’라고 한다. 또, ‘대미’(大迷)에서 ‘미’는 ‘미혹하다’ ‘헷갈리다’ ‘길을 헤매다’ ‘혹하다’ ‘호리다’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헷갈리다’를 택했다. 그런데 문제는 ‘시위요묘’(是謂要妙)에서 ‘요묘’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오묘한 길의 작용’이나 ‘중요한 묘법’ 등으로 풀이되어 있다. 그러나 나는 ‘요’의 ‘얻는다’와 ‘묘’의 ‘뛰어남’을 택하여 ‘뛰어남을 얻는다.’라고 했다.
[나무 찾기]
‘선행무철적 선언무하적’(善行無轍迹 善言無瑕讁, 잘 가는 것은 지나간 자국이 없고, 잘 말하는 것은 꾸짖을 잘못이 없다.)라는 문구를 듣게 되면 나는 문득 ‘고로쇠나무’(Acer mono)를 떠올리게 된다.
일찍이 뜨는 눈은 어스름에 잠을 털고
먼동의 나루에서 은하수를 건너가네.
기도는 큰 힘을 얻어 하늘문이 열리는데.
아픔만 짙어지는 시련 깊은 생채기들
눈물을 흘린다네, 영롱한 이슬방울로
지극한 이웃 사랑이 그릇마다 담기네.
언제나 빛인 그분 바라보고 사는 목숨
끝까지 따라가면 받아 줄 믿음이기에
오늘도 나는 연습을 하고 있네 고로쇠는.
-졸시 ‘고로쇠나무’ 전문
고로쇠나무는, 그 줄기에서 수액을 얻는다. 예로부터 ‘골리수’(骨利水)라고 하여 뼈를 특히 이롭게 하는 물로 한방에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요즘에는 ‘허약체질’ ‘신경통’ ‘위장병’ ‘치질’ 등에 좋을 뿐만 아니라, 수술을 한 뒤에 회복을 빠르게 하는 효험까지 있다고 하여 거의 만병통치의 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아무튼 그 ‘골리수’가 변하여 ‘고로쇠’로 되었고, 그게 ‘고로쇠나무’의 이름이 되었다고 전한다. 이는 바로 ‘선행’(善行)이 아닐 수 없다. 나는 이 장에서 ‘선행’을 ‘잘 가는 것’이라고 풀었지만, 원래 ‘선행’은 ‘착하고 어진 행실’을 가리킨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9장, 앞으로 어느 때 하늘 아래를(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1 |
---|---|
제28장, 그 수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키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1 |
제26장,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0 |
제25장, 섞여서 이루어진 것(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0 |
제24장, 발돋움한 사람은 서 있지 못하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