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풂- 제50장
삶으로 나오고 죽음으로 들어간다
삶으로 나오고 죽음으로 들어간다. ‘삶의 무리’가 열 사람 중에 세 사람이고 ‘죽음의 무리’가 열 사람 중에 세 사람이다. 사람의 삶에 있어서 살려고 꼼지락거리다가 죽음의 자리로 가는 것 또한 열 사람 중에 세 사람이 있다.
무릇 어떤 까닭인가? 그 삶으로써 사는 게 두텁기 때문이다.
듣기에, ‘삶을 굳게 지키기 잘하는 사람’은 뭍에서 다녀도 들소나 범을 만나지 않고, 싸움터로 들어가도 갑옷 입은 병사에게 다침을 당하지 않는다고 한다. 들소도 그 뿔로 들이받을 곳이 없고, 범도 그 발톱으로 잡을 곳이 없으며, 병사도 그 칼로 찌를 곳이 없다.
무릇 어떤 까닭인가? 그것으로써 죽음의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出生入死. 生之徒十有三 死之徒十有三 人之生 動之死地 亦十有三. 夫何故? 以其生生之厚. 蓋聞 善攝生者 陸行不遇兕虎 入軍不被甲兵 兕無所投其角 虎無所措其爪 兵無所容其刃. 夫何故? 以其無死地
(출생입사. 생지도십유삼 사지도십유삼 인지생 동지사지 역십유삼. 부하고? 이기생생지후. 개문 선섭생자 육행불우시호 입군불피갑병 시무소투기각 호무소조기조 병무소용기인. 부하고? 이기무사지)
[뜻 찾기]
‘출생입사’(出生入死)는, ‘무(無)에서 유(有)로 나오면 살고, 유에서 무로 들어가면 죽는다.’라는 풀이가 있다. 나는 이를 그저 ‘삶으로 나오고 죽음으로 들어간다.’라고 풀었다. 그리고 ‘생지도’(生之徒)는 ‘삶의 도리를 잘 지키는 사람’이나 ‘제대로 오래 사는 사람들’을 가리킨다고 한다. 나는 이를 쉽게 ‘삶의 무리’라고 했다. 또, ‘사지도’(死之徒)는 ‘죽음의 도리를 잘 지키는 사람’이나 ‘살다가 제대로 죽는 사람’을 나타낸다고 한다. 나는 이를 그저 ‘죽음의 무리’라고 했다. 그런가 하면, ‘동지사지’(動之死地)는, ‘욕심에 움직이면 죽음으로 들어간다.’라고 풀이되곤 한다. 내 생각에는 ‘살려고 꼼지락거리다가 죽음의 자리로 들어간다.’라는 말일 성싶다.
‘부하고’(夫何故)에서 ‘부’는 ‘무릇’이라는 뜻인데, ‘생각해 보건대’라는 의미로 보아도 될 듯싶다. 그러나 나는 그냥 ‘무릇’이라고 풀었다. 그리고 ‘이기생생지후’(以其生生之厚)에서 ‘생생지후’는 ‘삶을 지나치게 살아가려고 함’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이나 즐거움을 만족시키며 살아가려고 함’을 이른다고 한다. 나는 이를 ‘그 삶을 살려고 하는 게 두텁다.’라고 풀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텁다’는 ‘큼’을 의미한다.
‘개문’(蓋聞)에서 ‘개’는 ‘덮다’ ‘덮어 놓다’ ‘가리다’ 등의 뜻을 지닌다. 다시 말해서 ‘개’는 ‘안에 들어 있는 것이 없어지지 않도록 풀잎으로 덮어 놓는다.’라는 의미가 있다. 그렇기에 ‘개문’은 ‘들어서 가슴에 간직하고 있는 바에 의하면’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나는 그저 ‘듣기에’라고 했다. 그리고 ‘선섭생자’(善攝生者)에서 ‘섭생’은 ‘생명을 유지하는 일’을 이른다. 그런가 하면 ‘삶을 유지하다’ 또는 ‘편안히 하다’ 등의 뜻도 있다고 한다. ‘섭’은 ‘당기다’ ‘끌어당김’ ‘쥐다’ ‘굳게 지키다’ ‘걷다’ ‘다스리다’ ‘돕다’ ‘바루다’ ‘기르다’ ‘거느리다’ ‘적다’ ‘매다’ ‘나아가다’ ‘겸하다’ ‘대신하다’ ‘끼이다’ ‘빌다’ ‘두려워하다’ ‘으르다’ ‘근심하다’ 등의 여러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굳게 지키다’를 골랐다. 또, ‘호무소조기조’(虎無所措其爪)에서 ‘조기조’는 ‘그 발톱으로 할퀴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조’(措)는 ‘두다’ ‘놓다’ ‘놓아둠’ ‘베풀다’ ‘쓰다’ ‘그만두다’ ‘잡다’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잡다’를 골랐다. 이는, ‘범이 물려고 발톱으로 붙잡는 것’을 의미한다고 나는 생각했다.
[나무 찾기]
‘시무소투기각 호무소조기조 병무소용기인’(兕無所投其角 虎無召措其爪 兵無所容其刃, 들소도 그 뿔로 들이받을 곳이 없고, 범도 그 발톱으로 잡을 곳이 없으며, 병사도 그 칼로 찌를 곳이 없다.)에서 나는 ‘주목’(Taxus cuspidata)을 생각한다.
하늘이 닿을 산정 그 정기를 뽑아 들고,
거센 바람 마다 않고 어울려서 사는 심성
구름을 허리에 둘러 꿈꾸는 듯 천년이여.
늘 푸른 잎사귀엔 목마르게 정도 깊어
이슬이 구를 때면 단심으로 타는 입술
불러도 멀어만 가는 메아리를 안고 산다.
고요를 앞세우고 서두르지 않는 걸음
아직도 힘든 고갠 지는 해가 걸렸는데
이 시대 외로운 선비가 헛기침을 뱉는다.
-졸시 ‘주목’ 전문
요즘은, ‘들소의 뿔’이나 ‘범의 발톱’이나 ‘무기의 칼날’ 등이 바로 그 무서운 ‘암’(癌)이 아니겠는가. 그런데 그 무서운 암도 ‘주목’ 앞에서는 꼼짝을 못 한다. 왜냐하면, 주목 껍질에는 ‘팍클리탁셀’(paclitaxel)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이 성분은 높은 항암효과를 지녔다. 그렇기에 미국제약회사인 BMS사가 여기에서 ‘택솔’(Taxol)이라는 항암제를 개발했다.
‘주목’(朱木)은 ‘그 나무껍질이 붉은빛을 띠고 속살도 유난히 붉기 때문’에 그 이름을 얻었다. 한명(漢名)으로는 ‘주목’ 외에도 ‘적백송’(赤柏松) ‘경목’(慶木) ‘의기송’(依奇松) 등이 있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2장, 하늘 아래 맨 처음이 있다(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1 |
---|---|
제51장, 길은 낳고 베풂은 기르며(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1 |
제49장, 거룩한 이는 늘 그러한 마음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8 |
제48장, 배움으로 나아가면 날로 보태어지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8 |
제47장, 지게문을 나가지 않고도(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