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5절 ‘무’에서 꿇음에 바른편 무릎은 땅에 대고
武坐致右憲左何也 對曰 非武坐也(무좌치우헌좌하야 대왈 비무좌야).
“‘무’(대무: 춤)에서 꿇음에 바른편 무릎은 땅에 대고 왼쪽 발을 드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마주하여 말했다. “‘무’(무를 춤추는 자)는 꿇어앉음이 허물입니다.”
‘시조’의 경우- <“‘큰 휘청거림’으로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자기 앞에 술잔이 오기까지 기다렸다가 술을 마시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마주하여 말했다. “그때까지 시(시조)를 짓지 못함에 벌주입니다.”>
[녹시 생각]
예전에는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이라는 놀이가 있었다. 이 놀이는 풍류객들이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자기 앞에 술잔이 오기까지 시(시조)를 짓지 못하면 벌주를 마시는 놀이이다. ‘삼월 삼짇날로 따뜻하고 화창한 계절이 오는 것을 기뻐하고, 새 생명의 출현을 본다는 봄날’을 ‘유상곡수연’을 하기 좋은 때로 여겼다. 이 얼마나 멋진 광경인가. 이럴 때 어찌 ‘휘청거리는 멋진 내용의 작품’이 만들어지지 않겠는가. 맑은 목소리로 읊는 시조 한 수가 금방이라도 들릴 것 같다.
'시조의 악기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7절, 빈모 '가'가 윗사람에게 삼가는 마음으로(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30 |
---|---|
제56절, 소리울림이 음란함을 탐하여(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29 |
제54절, 손발을 힘차게 들고 땅을 힘차게 밟음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29 |
제53절, 기다란 소리로 탄식하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28 |
제52절, 무릇 '무'의 '조심함을 갖춤'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