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8. 野渡 一片舟난/ 김 우 굉
[원본]
野渡 一片舟난 멷 사람 건네노라
가난 닷 오난 닷 쉴 적 업시 단니다가
븬 배예 明月을 싯고 절로 汎汎하나니.
[역본]
나루터 작은 배는 몇 사람을 건넸는기
가자마자 오자마자 쉬지 않고 다니다가
빈 배에 발은 달 싣고 자기 홀로 두둥실.
[감상]
김우굉(金宇宏1524~ 1590)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경상북도 성주(星州) 출신이다. 본관은 의성(義城)인데 자(字)는 경부(敬夫)이며 호는 개암(開岩)이다. 중종 37년에 향시 수석 합격하였고, 1566년 별시문과에 급제해 예문관검열이 되었으며, 여러 관직을 거친 뒤에 1578년 사복시정을 거쳐 동부승지 및 대사성 등을 지내고 이듬해 병조참의 및 승지에 이르렀으나, 이수의 옥사로 파직되었으며, 60세 때 홍문관 부제학이 되었고, 1589년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 고향인 성주로 돌아갔다.
이는, 개암십이곡 중 ‘허주’(虛舟)이다. 초장을 본다. ‘야도’는 ‘시골의 나루터’이고, ‘일편주’는 ‘쪽배’를 나타낸다. 그러나 나는 글자 그대로 ‘작은 배’라고 했다. 중장으로 간다. ‘가난 닷 오난 닷’은 ‘가자마자 오자마자’로 본다. 그러니 쉴 틈이 없다. ‘명월’은 ‘밝게 뜬 달’이다. 싣자면 달은 싣지 못하고 달빛만 싣게 된다. ‘범범’은 ‘배가 떠다니는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어’이다. 그래서 나는 ‘두둥실’을 썼다. (시조시인 김 재 황)
'새 고시조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버난 千尋綠水/ 신 지 (0) | 2024.05.14 |
---|---|
田園에 나믄 興을/ 김 천 택 (0) | 2024.05.14 |
遠山에 비 거든 後/ 김 우 굉 (0) | 2024.05.13 |
突巖은 諺傳이오/ 김 우 굉 (0) | 2024.05.13 |
鰲臺邊 玉柱峯을/ 김 우 굉 (0) | 202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