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14장
보려고 해도 안 보이니
보려고 해도 안 보이니, 이름을 ‘고르고 판판하다.’라고 말한다. 들으려고 해도 안 들리니, 이름을 ‘드물다.’라고 말한다. 잡으려고 해도 얻을 수 없으니, 이름을 ‘가늘다.’라고 말한다. 이 세 가지는 ‘다다라서 따짐’이 옳지 않다. 그 까닭에 섞어서 하나로 삼는다.
그 위는 밝지 않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않으며 노끈 같고 노끈 같아서 이름을 붙일 수 없다. 아무것도 없는 곳으로 돌아가니 이를 일컬어서 ‘모습 없는 모습’이라고 한다. 아무것도 없는 생김새이니 이를 일컬어서 ‘있는 듯도 하고 없는 듯도 하여 알 수가 없다.’라고 한다.
앞에서 마주 보아도 그 이마와 코를 볼 수 없고 뒤를 따라가면서 보아도 그 엉덩이를 볼 수 없다.
예전의 길을 붙잡아 지금의 있음을 다스림으로써 잘 ‘예스러운 처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일컬어서 ‘길의 벼리’라고 한다.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其上不曒 其下不昧 繩繩兮 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惚恍.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시지불견 명왈이, 청지불문 명왈희, 박지부득 명왈미. 차삼자 불가치힐 고혼이위일. 기상불교 기하불매 승승혜 불가명 복귀어무물 시위무상지상 무물지상 시위홀황. 영지불견기수 수지불견기후. 집고지도 이어금지유. 능지고시 시위도기)
[뜻 찾기]
‘명왈이’(名曰夷)에서 ‘이’는 ‘오랑캐’ ‘동방족속’ ‘상하다’ ‘죽이다’ ‘멸하다’ ‘평평하다’ ‘온화하다’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 중에서 ‘평평하다’를 택해서 ‘고르고 판판하다’라고 풀었다. 그리고 ‘명왈희’(名曰希)에서 ‘희’는 ‘바라다’ ‘드물다’ ‘희소함’ ‘성기다’ ‘듬성듬성함’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 중에서 ‘드물다’를 택했다. 또, ‘명왈미’(名曰微)에서 ‘미’는 ‘작다’ ‘적다’ ‘숨기다’ ‘몰래’ ‘은밀히’ ‘숨다’ ‘가늘다’ ‘어렴풋하다’ ‘어둡다’ ‘다치다’ ‘엿보다’ ‘천하다’ ‘쇠하다’ 등의 여러 뜻을 안고 있다. 나는 그 중에서 ‘가늘다’를 선택했다. 그런데 ‘명왈미’ 전에 ‘박지부득’(搏之不得)이란 말이 들어 있다. 거기에서 ‘박’은 ‘치다’ ‘두드리다’ ‘때리다’ ‘싸우다’ ‘잡다’ ‘쥐다’ 등의 뜻이 있으나 ‘잡다’를 골랐고, ‘득’은 ‘얻다’ ‘깨닫다’ ‘탐하다’ ‘만족하다’ ‘적합하다’ ‘득보다’ ‘알맞다’ 등의 뜻이 있지만 나는 ‘얻다’를 골랐다. ‘불가치힐’(不可致詰)은 ‘말로 자세히 따질 수 없다.’라거나 ‘궁구하여 밝힐 수 없다.’라고들 한다. 그러나 나는, ‘치’의 ‘이루다’ ‘이룩하다’ ‘이르다’ ‘다다르다’ ‘주다’ ‘드리다’ ‘부르다’ ‘보내다’ ‘경치’ ‘전하다’ ‘다하다’ 등의 뜻 중에서 ‘다다르다’를 택하고, ‘힐’의 ‘따지다’ ‘꾸짖다’ ‘힐난하다’ ‘죄 묻다’ ‘다스리다’ ‘경계하다’ ‘벌하다’ ‘굽다’ ‘조사하여 바로잡다’ ‘채우다’ 등의 뜻 중에서 ‘따지다’를 택했다.
‘승승혜’(繩繩兮)에서 ‘혜’는 뜻이 없고, ‘승승’은 ‘끊임없이 존재하면서 작용하는 상대’ 또는 ‘무한한 존재’라고들 한다. 그러나 나는 이 ‘승’이 ‘노끈’을 가리키기 때문에 ‘노끈 같고 노끈 같다’라고 풀었다. 그리고 또 ‘시위홀황’(是謂惚恍)에서 ‘홀황’은 ‘형용해서 말할 수 없는 어리둥절한 상태’라거나 ‘있는 듯도 하고 없는 듯도 하여 알 수가 없는 것’이라고도 한다. 나는 후자를 따랐다.
‘불견기수’(不見其首)에서 ‘수’는 ‘머리에 머리카락이 두 개 났고, 이마와 코를 본뜬 얼굴 모양’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는 ‘수’를 ‘이마와 코’라고 풀었다. 그리고 ‘불견기후’(不見其後)에서 ‘후’는 ‘뒤’ ‘나중’ ‘장래’ ‘후세’ ‘뒤떨어지다’ ‘미루다’ ‘늦다’ ‘자손’ ‘후계자’ ‘아랫사람’ ‘곁’ ‘딸림’ ‘마지막’ ‘엉덩이’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나는 그 중에서 ‘엉덩이’를 골랐다.
‘능지고시’(能知古始)의 ‘시’는 ‘처음’을 말하고, ‘시위도기’(是謂道紀)에서 ‘도기’는 ‘길(道)의 본질 또는 근본’이나 ‘길(道)의 단서’를 가리킨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기’의 ‘벼리’라는 뜻을 살려서 썼다. ‘벼리’는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라는 의미이다.
[나무 찾기]
‘시지불견 명왈이’(視之不見 名曰夷, 보려고 해도 안 보이니 이름을 ‘고르고 판판하다’라고 말한다.)라는 말에, 나는 문득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를 떠올리게 된다.
이 나무는 잎의 생김새나 작고 갸름한 꽃봉오리, 그리고 흰 빛깔의 꽃 등이, 우리와 아주 친근한 ‘고추’와 매우 닮았다. 그래서 그 이름을 얻었다. 그런데 고추는 기껏해야 조선 중기나 초기에 우리나라로 들어왔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는 이 나무가 우리나라에 없었다는 말인가? 아니다. 이 고추나무는 우리나라 토종 나무이다. 다만, 이 나무가 있는 듯 없는 듯 그저 서 있었기에 우리 눈에 잘 띄지 않았을 뿐이다. 보일 듯이 보이지 않았던 고추나무. 그러니 이 고추나무가 바로 ‘고르고 판판한 나무’(夷木)가 아니겠는가. ‘고르고 판판하다.’라는 말은, ‘툭 튀어나오지 않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보이지 않는 길은 고요하다.
똑바로 뻗은 길이
소리 없이 하늘 위로 향한다.
눈감고 입 다물고
홀로 걸어가는 길
너무나 적적하여
나무들도 푸른 속잎을 밟고 간다.
-졸시 ‘고요한 길’ 전문
다시 좀 앞으로 돌아가서, ‘고추’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려고 한다. 고추의 원산지는 남미의 브라질 지역, 다시 말해서 아마존강 유역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멕시코와 페루에서도 고추를 식용으로 애용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매운 고추는 유독식물로 간주하여 따돌림을 받기도 했다고 전한다. 고추가 세계 여러 나라로 퍼지게 된 것은, 1493년에 콜럼버스가 중남미에서 담배와 함께 스페인으로 가져오게 되면서부터라고 한다. 그 후, 프랑스에도 전해졌다고 한다. 동양에는 16세기 무렵에 포르투갈 상선으로 인도에 전해졌다. 그다음, 중국을 거쳐서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게 되었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장, 빔이 끝에 이르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7 |
---|---|
제15장, 예로부터 좋은 선비라고 하는 사람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6 |
제13장,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5 |
제12장, 다섯 가지 빛깔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4 |
제11장, 서른 개의 바큇살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