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13장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 하고, 큰 근심을 몸과 같이 빼어나게 여긴다. 어찌하여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 하라고 하는가? 귀여움은 아래를 잘되게 함이니 얻어도 놀라는 듯이 하고 잃어도 놀라는 듯이 한다. 이를,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 한다.’라고 일컫는다. 어찌하여 큰 근심을 몸과 같이 빼어나게 여기라고 하는가?
나에게 큰 근심이 있음은 ‘나에게 몸이 있다.’라고 하는 까닭이다. 내 몸이 없음에 이르면 나에게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그 까닭에 몸을 빼어나게 여기듯 하늘 아래를 잘 되게 하면 하늘 아래를 부쳐도 옳을 것 같고, 몸을 아끼듯 하늘 아래를 잘 되게 하면 하늘 아래를 내맡겨도 옳을 것 같다.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寵辱若驚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故貴以身爲天下 若可寄天下 愛以身爲天下 若可託天下
(총욕약경 귀대환약신 하위총욕약경? 총위하 득지약경 실지약경 시위총욕약경 하위귀대환약신? 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 급오무신 오유하환. 고귀이신위천하 약가기천하 애이신위천하 약가탁천하)
[뜻 찾기]
‘총욕약경’(寵辱若驚)에서 ‘총’은 ‘귀염’ ‘사랑함’ ‘총애’ ‘은혜’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나는 그 중에서 ‘귀염’을 골랐다. 또, ‘욕’은 ‘욕되다’ ‘욕보이다’ ‘수치’ ‘거스르다’ ‘더럽히다’ ‘무덥다’ ‘미워하다’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미워하다’, 즉 ‘미움’을 택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경’은 ‘두려워하다.’라고 풀이한다. 그러나 나는 ‘놀라다’라는 그 뜻을 선택했다. 그다음의 ‘귀대환약신’(貴大患若身)에서 ‘대환’을 일반적으로 ‘큰 재앙’으로 보고 ‘여기에서는 부귀영화를 재앙으로 본다.’라고 하였으나, 나는 그저 ‘큰 근심’으로 풀었다. 그리고 ‘총위하’(寵爲下)에서 ‘위하’를 ‘남의 아래 된 사람’이라고들 했지만, 나는 그저 ‘아래를 잘되게 하다’라고 풀이하였다.
‘귀이신위천하’(貴以身爲天下)는 ‘제 몸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천하를 소중히 여긴다.’라는 뜻이다. 또, ‘약가기천하’(若可寄天下)에서 ‘기’는 ‘기탁(寄託)한다.’라는 말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이를 ‘부친다’라고 했다. 다만, ‘약가’가 붙어 있으므로 ‘~해도 옳을 것 같다.’라고 풀이하였다. 끝의 ‘약가탁천하’(若可託天下)에서 ‘탁’도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기탁하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나는 ‘내맡기다’라고 했다.
[나무 찾기]
‘총욕약경 귀대환약신’(寵辱若驚 貴大患若身,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 하고 큰 근심을 몸과 같이 빼어나게 여긴다.)라는 말을 들으면 금방 생각나는 나무가 있다. 그 나무는 ‘밤나무’(Castanea crenata)이다. 앞의 ‘총욕약경’에서 ‘경’을 나는 ‘놀라는 듯이’라고 풀이했지만, 정확히 말하면 ‘두려운 듯이’라는 뜻이다. 정말이지, 밤은 ‘두려운 이미지’를 지녔다.
태어날 때부터 너는 예사롭지 않았는데
자라면서 새파랗게 더욱 날카로워졌어.
불의를‘보았다’하면 결코 참지 못할 듯이.
자신이 남기 위해, 정의롭게 살기 위해
이 세상 모든 어둠과 싸워서 이기기 위해
그토록 많은 가시가 그리 돋게 되었지.
살금살금 다가오는 시커먼 그림자 하나
못 버린 도둑놈 심보 그냥 두고 볼 수 없어
정수릴 바로 겨눴지‘ 따끔한 맛’보이려고.
-졸시 ‘밤 이미지’ 전문
‘밤나무’의 열매 속에 들어 있는 ‘밤’은 예로부터 우리의 귀한 먹을거리였다. 그래서 처음에는 이 나무를 ‘밥나무’라고 불렀단다. 그게 변해서 ‘밤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무엇보다 밤나무는 씨가 아주 귀중했는데 그 ‘씨’를 먼 옛날에는 ‘붓’이라고 했단다. 이 ‘붓’은 ‘씨를 의미하는 고대 국어’라고 한다. 그런데 이 ‘붓’이 ‘받’으로 되고 ‘받’이 또 ‘발’로 되었다가 ‘발암’에서 ‘바암’으로 되었고 ‘바암’이 마침내 ‘밤’으로 되었다고 한다.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모르겠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장, 예로부터 좋은 선비라고 하는 사람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6 |
---|---|
제14장, 보려고 해도 안 보이니(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6 |
제12장, 다섯 가지 빛깔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4 |
제11장, 서른 개의 바큇살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3 |
제10장, 몸과 넋의 지음을 싣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