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10장
몸과 넋의 지음을 싣고
몸과 넋의 지음을 싣고 하나를 껴안아서 떠남이 없도록 익숙하게 잘할 수 있는가. 오로지 ‘살아 있는 힘’을 부드러움에 이르게 하여 젖먹이처럼 익숙하게 잘할 수 있는가. 거무레하게 보는 것을 씻어 버림으로써 흠이 없도록 익숙하게 잘할 수 있는가. 나라 사람을 아끼고 나라를 잘 다스려서 쓸데없는 앎이 없도록 익숙하게 잘할 수 있는가.
하늘 문을 여닫아서 암컷이라고 익숙하게 잘할 수 있는가. 아주 뚜렷하고 막힘이 없어서 ‘함’이 없도록 잘할 수 있는가. 낳기도 하고 기르기도 하지만, 낳았다고 가지지 않고 지었다고 기대지 않으며, 어른이라고 해서 이래라저래라하지 않는다. 이를 ‘거무레한 베풂’이라고 일컫는다.
載營魄抱一 能無離乎 專氣致柔 能如嬰兒乎 滌除玄覽 能無疵乎 愛民治國 能無知乎. 天門開闔 能爲雌乎 明白四達 能無爲乎 生之畜之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재영백포일 능무리호 전기치유 능여영아호 척제현람 능무자호 애민치국 능무지호. 천문개합 능위자호 명백사달 능무위호 생지축지 생이불유 위이불시 장이부재 시위현덕)
[뜻 찾기]
‘재영백포일’(載營魄抱一)에서 ‘영’은, ‘경영하다’ ‘짓다’ ‘진영’ ‘변명하다’ 등의 뜻이 있으나, 나는 ‘짓다’를 택했다. 그리고 ‘백’은 ‘넋’ ‘몸’ ‘모양’ ‘달빛’ 등의 뜻을 지니는데, 나는 ‘넋’과 ‘몸’을 골랐다. 또, ‘포일’은, ‘순일(純一)한 정신을 갖는다.’라는 뜻이라고 하지만, 나는 그저 ‘하나를 껴안는다.’라고 하였다. 그런가 하면 ‘척제현람’(滌除玄覽)에 있어서 ‘척제’는 ‘씻어 버림’, 즉 ‘더럽혀지고 물든 것을 씻어 버림’을 뜻한다고 하여 ‘척제현람’을 ‘현묘(玄妙)한 관찰력으로 욕심의 때가 묻은 마음을 깨끗이 씻어냄’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람’의 ‘보다’ ‘전망’ ‘경관’ ‘받다’ ‘받아들이다’ 등의 뜻 중에서 ‘보다’를 골라서 ‘현람’을 ‘거무레하게 보는 것’이라고 풀었다. 그러므로 ‘척제현람’은 글자 그대로 ‘거무레하게 보는 것을 씻어 버린다.’라는 풀이가 된다. 물론, 끝에 계속 붙은 ‘호’는 ‘그런가’라는 뜻을 갖는다. 이는, 어조사로 소리를 길게 끌어서 마음속의 생각을 나타내는 감탄사이다. 그래서 나는 이를 ‘~있는가.’라고 풀었다.
‘천문개합’(天門開闔)은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처럼 치세와 난세가 오고 가는 것’이라거나 ‘만물이 들어가고 나오는 생멸의 문이 열리고 닫힘’이라고들 말한다. 그러나 나는 그저 ‘하늘 문을 여닫아서’라고 간단히 했다. 또, ‘위이불시’(爲而不恃)에서 ‘불시’는 ‘자기의 공을 자랑하지 않는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시’는 ‘믿다’ ‘의지하다’ ‘어미’ 등의 뜻을 나타낸다. 나는 그중에서 ‘의지하다’를 고른 후에 ‘불시’를 ‘기대지 않는다.’라고 풀었다. 물론, ‘위’는 ‘행하다’ 외에도 ‘만들다’ ‘지음’ ‘생각하다’ ‘가장하다’ 등의 뜻이 있다. 나는 ‘지음’을 택하였다. 그런데 ‘장이부재’(長而不宰)가 문제이다. ‘장’은 ‘길다’ ‘오래다’ ‘멀다’ 등의 뜻을 지니지만, ‘뛰어나다’ ‘잘한다’라는 뜻도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장이’를 ‘잘한다고 해서’라고 하였다. 그러나 ‘재’는 ‘지배하다’라는 뜻을 지닌다. 나는 여기에서 ‘조장’(助長)이라는 말을 생각하게 된다. 이는, ‘어린포기(苗)의 성장을 도우려고 무리하게 잡아당겨서 뿌리를 뽑아 버렸다는 옛이야기’에서 생긴 말이다. 이 말은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하지만 ‘장’은 ‘어른’이라는 뜻도 있다. 그렇기에 마지막에는 ‘장이’를 ‘어른이라고 해서’라고 풀었다.
[나무 찾기]
‘전기치유 능여영아호’(專氣致柔 能如嬰兒乎, 오로지 ‘살아 있는 힘’을 부드러움에 이르게 하여 젖먹이처럼 익숙하게 잘할 수 있는가.)라는 말을 들으면 눈앞에 떠오르는 나무가 있다. 그 나무는 바로 ‘측백나무’(Thuja orientalis)이다. 측백나무는 그 잎을 만지면 부드럽기 이를 데 없다. 오래된 일이지만, 서귀포에서 귤밭을 가꿀 때, 나는 귤을 수확하고 나면 이 측백나무 잎으로 덮어놓곤 했다. 그러면 오래 두어도 귤이 싱싱했다. 그 잎의 부드러움이라니, 젖먹이 얼굴에 간지럼을 태우면 얼마나 깔깔거릴까 하는 생각을 해보곤 한다.
오늘은 어떤 이가 저문 숲에 불을 켜나. 무정한 발걸음이 한 가슴을 밟고 간 뒤, 드러난 산의 갈비뼈 쓰다듬는 손이 있다.
쓰면 뱉고 달면 삼켜 오리발 내미는 세상, 홀로 앞뒤가 같은 늘푸른 잎사귀 만나, 원뿔꼴 뾰족한 마음을 살 아프게 안아 본다.
이웃도 내 몸처럼 골고루 빛을 나누고, 응어리진 피를 풀어 한숨 크게 내뱉으면 저 앞에 옷깃 날리는 동승 하나 나와 선다.
-졸시 ‘측백나무’ 전문
‘측백나무’라는 이름은 이미 중국에서 ‘측백’(側柏)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즉, ‘측’이란 ‘잎이 옆으로 납작하게 자란다.’라는 뜻이다. 옛 책인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는 이런 글이 담겨 있다.
“모든 나무의 잎은 햇볕을 향하나 유독 측백나무는 서쪽을 향하는데, 이로 보아서 이 나무는 음목(陰木)이고 정덕(貞德)을 가진 나무이기에 ‘나무 목’(木) 변에 ‘흰 백’(白) 자를 붙였다. 백은 서쪽을 상징하는 색이다.”
‘백’(栢)은 ‘백’(柏)의 속자이다. ‘백’이 ‘측백나무’를 가리킨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잣나무’를 이르기도 한다. 이름의 설명에서 짐작하였겠지만, ‘측백나무’는 중국 북부 및 중부지방이 원산지라고 한다. 아마도 우리나라에는 아주 먼 옛날에 들어왔다고 여겨진다. 그래서 거의 자생하는 ‘측백나무’도 만날 수 있다.
‘측백나무’는 상록침엽교목으로 키가 20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그리고 가슴높이 줄기지름이 1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나는 중국에서 측백나무를 그리 좋아하는 줄을 몰랐다. 몇 년 전에 북경을 갔을 때, 묘지 등에서 많은 측백나무를 만났다.
이 나무는 무엇보다도 잎이 부드럽다. 잎에 표피가 없는 게 큰 특징이다. 이 나무의 잎은 비늘잎(鱗葉)이다. 수꽃은 지난해의 가지에 1개씩 달리고 알꼴이며 10장의 비늘 조각을 지닌다. 그런가 하면 암꽃은 8장의 비늘 조각을 지니는데, 가장 바깥쪽에 있는 2장의 비늘 조각은 녹갈색이어서 잎과 구별이 어렵다. 각 꽃에는 밑씨(胚珠)가 6개씩 들어 있다. 그리고 열매마다 보통 6개의 씨가 들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들이 여럿 있다. 천연기념물이라고 함은, ‘한 나라나 어느 지방의 자연물 중에서 오늘날까지 근근이 보존되어 그 나라 또는 그 지방의 자연계를 기념하는 것들’을 말한다. 천연기념물은 세계적인 것과 일부 지방에만 있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세계적 천연기념물이란, ‘다른 지방에는 전혀 없는 것이라서 절대적으로 진기한 것’이다. 이에 반해, 지방적 천연기념물은, ‘어느 한 지방에서는 진기하지만 다른 지방에는 흔히 있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그 지방에 특유한 천연물을 기념물로 정하여 보존하는 목적은, ‘자연 속에 있는 나라의 보물을 영원히 남겨서 그 나라 또는 그 지방의 특색을 유지하려는 뜻’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달성(達城)의 측백수림(側柏樹林)이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정 연월일은 1962년 12월 3일이다. 소재지는 ‘대구직할시 동구 도동’으로 되어 있다. 여기의 측백나무들은 1000여 그루에 이르고 100미터는 됨직한 벼랑에 서 있다. 나무의 키가 7미터나 된다. 앞에서 측백나무가 중국 원산의 나무라고 했지만, 어쩌면 이 측백나무야말로 우리나라 자생의 측백나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서거정(徐居正)은 이곳을 대구 십경(十景)의 하나인 ‘북벽향림’(北壁香林)이라고 칭송하였다. 그 외에도 제62호인 충북 단양군 매포면 영천리 측백수림을 비롯하여, 제114호인 경북 양양군 영양읍 감천리의 측백수림, 그리고 경상북도 안동군 남후면 광음리에도 천연기념물 제252호(1975년 9월 22일 지정)의 측백나무 자생지에 약 300그루가 모여 서 있다.
측백나무는 석회암지대에서 회양목과 함께 자라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가지는 옆으로 벌어지지 않고 곧게 세우는 모습을 보인다. 선비의 기개 같다고나 할까. 자람의 속도는 느린데, 나이를 먹으면 줄기가 잘 썩게 된다. 이 나무는 향교나 양반집의 정원 및 생울타리로 많이 심었다. 나 또한, 귤밭의 생울타리로 측백나무를 심어 놓고 즐겼다.
예로부터 이 측백나무의 열매는 ‘백자인’(柏子仁)이라고 하여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받아 왔다. 백자인은 심장의 기능을 원활히 함으로써 심신의 황홀한 증상과 가슴이 두근거리는 심장병 등에 특효가 있다고 전한다. 그뿐만 아니라, 간과 비장과 그 밖의 장들을 편안하게 해주고 귀와 눈을 밝게 해주며 변비에도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 고사에 보면, 적송자(赤松子)라는 사람이 이 측백나무의 씨를 즐겨 먹었는데, 얼마 동안을 먹고 나니 늙어서 빠졌던 이가 새로 나왔다고 한다. 또, 백엽선인(柏葉仙人)은 머리가 허연 노인이었는데 8년 동안이나 이 측백나무의 잎을 먹었더니 마침내 몸이 더워지기 시작해서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종기가 온몸에 돋아났다. 그런데 얼마 후, 종기가 가라앉고 나서 몸을 씻으니 살결이 백옥 같아지고 탄력이 생겼으며 머리가 다시 검어졌다고 한다. 측백나무 열매는 약으로 많이 썼지만, 그 씨에서 기름을 짜서 먹기도 하였다고 전한다.
아마도 측백나무가 이러한 효능을 지니고 있음을 아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을 듯싶다. 이는 바로, 노자가 말한 ‘거무레한 베풂’(玄德)이기 때문일 거다. 노자가 살았던 당시, 주(周)나라에서 왕족의 번영을 뜻하는 ‘생명의 나무’로 왕족들의 묘에 많이 심었다고 전한다.(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장, 다섯 가지 빛깔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4 |
---|---|
제11장, 서른 개의 바큇살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3 |
제9장, 지니고서도 가득 채우는 것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1 |
제8장,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1 |
제7장, 하늘은 멀고 땅은 오래 간다(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