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15장
예로부터 좋은 선비라고 하는 사람은
예로부터 좋은 선비라고 하는 사람은, 뚜렷하지 않고 야릇하며 거무레함을 꿰뚫기에 깊이를 알 수 없다. 무릇 오직 알 수 없다. 그 까닭에 모습을 억지로 그려 본다.
머뭇거림은 마치 겨울에 내를 건너는 것 같고, 망설임은 마치 이웃한 네 집이 볼까 보아서 두려워하는 것 같으며, 의젓함은 그게 마치 손님과 같고, 흩어짐은 마치 얼음이 조금 지나서 풀리는 것 같으며, 도타움은 그게 마치 수수함과 같고, 밝기는 그게 마치 골짜기 같으며, 섞이기는 그게 마치 흐린 것 같다.
누가 익숙하게 잘 ‘흐린 것을 고요히’ 하여 서서히 맑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누가 익숙하게 잘 편안함 속에 이를 움직여서 서서히 태어나도록 할 수 있겠는가. 이 길을 지키는 사람은 ‘채우는 것’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무릇 오직 채우지 않는다. 그 까닭에 익숙하게 잘 가릴 수 있고 새로 이루지 않는다.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豫兮 若冬涉川 猶兮 若畏四隣 儼兮 其若客 渙兮 若氷之將釋 敦兮 其若樸 曠兮 其若谷 混兮 其若濁.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動之徐生. 保此道者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예혜 약동섭천 유혜 약외사린 엄혜 기약객 환혜 약빙지장석 돈혜 기약박 광혜 기약곡 혼혜 기약탁. 숙능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구동지서생. 보차도자불욕영. 부유불영. 고능폐불신성)
[뜻 찾기]
‘예혜’(豫兮)에서 ‘예’는 ‘미리’ ‘기뻐하다’ ‘즐기다’ ‘즐거움’ ‘참여하다’ ‘머뭇거리다’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머뭇거리다’를 골랐다. 그리고 ‘유혜’(猶兮)에서 ‘유’는 ‘오히려’ ‘원숭이’ ‘망설이다’ ‘말미암다’ ‘같다’ ‘비슷하다’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망설이다’를 택했다. 또, ‘엄혜’(儼兮)에서 ‘엄’은 ‘의젓하다’ ‘언행이 점잖다’ ‘공손하다’ ‘삼가고 정중함’ 등의 뜻을 가진다. 나는 그중에서 ‘의젓하다’를 선택했다. 그와 마찬가지로 ‘환혜’(渙兮)의 ‘환’은 ‘흩어지다’로 하고, ‘돈혜’(敦兮)의 ‘돈’은 ‘도탑다’로 했다. 알다시피, ‘도탑다’는 ‘사랑이나 인정이 많고 깊다.’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광혜’(曠兮)의 ‘광’은 ‘밝다’라는 뜻이며, ‘혼혜’(混兮)의 ‘혼’은 ‘섞이다’라는 뜻이다.
‘보차도’(保此道)는 ‘이러한 훌륭한 선비의 길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저 ‘이 길을 지키는 사람’이라고 풀었다. 또, ‘불욕영’(不欲盈)이란, ‘빈 마음으로 스스로 근신하여 자취를 감추고 빛을 드러내지 않는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채우는 것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그리고 ‘능폐불신성’(能蔽不新成)은, 여러 기록을 보면 ‘능폐복성’(能蔽復成)이라고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능폐복성’은 ‘다 낡고 떨어졌으나 새롭게 이루어진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능폐불신성’이란 말도 풀이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주석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한 예로, ‘하늘이 항상 모든 것을 덮고 있을 뿐 새로운 것을 창작하지 않는 것처럼, 군자의 모든 길은 여러 사람 위를 덮을 뿐 새로운 것을 성취하려고 작위하지 않는다.’라는 풀이가 있다. 나는 이를 그저 ‘익숙하게 잘 가릴 수 있고 새로 이루지 않는다.’라고 쉽게 풀었다.
[나무 찾기]
‘돈혜 기약박’(敦兮 其若樸, 도타움은 그게 마치 수수함과 같다.)이란 말을 들으면 금방 눈앞에 떠오르는 나무가 있다. 바로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이다. 굴참나무를 한자로 ‘박목’(樸木)이라고 쓴다. 그러니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달빛이 너무 밝아
뒷산으로 시를 쓰려고 와서 앉았는데
내 원고지 위에
앞산 억새의 가늘고 긴 그림자가
찾아와서 글씨를 쓰고
좀처럼 시는 몸을 드러내지 않는다.
깊은 숲속에 자리 잡고 앉은 너와집처럼.
-졸시 ‘너와집처럼’ 전문
굴참나무는 두꺼운 코르크가 발달하여 세로로 깊은 골이 지니, 다른 나무와 구별하기가 쉽다. 그 ‘두꺼운 코르크’로 해서 ‘박’((樸: 수수함)의 이미지를 얻었다. 경기도 지방에서는 ‘골’을 ‘굴’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무 이름이, ‘껍질에 골이 지는 참나무’가 되었다. 그리고 ‘골참나무’가 ‘굴참나무’로 변했다. 그런가 하면, 다른 이름으로는 ‘청강류’(靑剛柳) 또는 ‘력’(櫟)이라고도 부른다. 또, 영명(英名)은 ‘korean cork’이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7장, 크게 위에 있는 것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7 |
---|---|
제16장, 빔이 끝에 이르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7 |
제14장, 보려고 해도 안 보이니(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6 |
제13장, 귀염받음도 미움받음도 놀라는 듯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5 |
제12장, 다섯 가지 빛깔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