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제21장
크고 깊은 베풂의 모습은
크고 깊은 베풂의 모습은 길만을 헤아리고 따를 뿐이다. 길이라는 것의 됨됨이는 어슴푸레하게 헤아리고 흐릿하게 헤아린다.
어슴푸레하고 흐릿하구나! 그 가운데에 일이 있다. 흐릿하고 어슴푸레하구나! 그 가운데에 생김새가 있다.
깊고 아득하구나! 그 가운데에 맑은 마음이 있다. 그 맑은 마음이 매우 참되어서 그 가운데에 믿음이 있다.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이름이 사라진 적이 없다. 이로써 모든 것의 처음을 살펴본다. 내가 어찌 모든 것의 맨 처음을 알겠는가. 이와 같기 때문이다.
孔德之容 惟道是從. 道之爲物 惟恍惟惚. 恍兮惚兮! 其中有物. 惚兮恍兮! 其中有象.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 自古及古 其名不去.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공덕지용 유도시종. 도지위물 유황유홀. 황혜홀혜! 기중유물. 홀혜황혜! 기중유상. 요혜명혜! 기중유정. 기정심진 기중유신 자고급고 기명불거. 이열중보. 오하이지중보지상재. 이차)
[뜻 찾기]
‘공덕지용’(孔德之容)에서 ‘공덕’은 ‘공허하며 무위한 상덕(上德)’을 가리킨다고 한다. ‘공’은 ‘구멍’ ‘매우’ ‘심히’ ‘헛되다’ ‘크다’ ‘깊다’ 등의 뜻을 지닌다. 그래서 나는 ‘크다’와 ‘깊다’를 골라서 ‘공덕’을 ‘크고 깊은 베풂’이라고 풀었다. 그리고 ‘유황유홀’(惟恍惟惚)에서, ‘유’는 ‘생각할 유’ 자이기 때문에 ‘헤아리다’라고 했으며, ‘황’은 ‘어슴푸레하다’ ‘미묘하여 알기 어려운 모양’ ‘황홀하다’ 등의 뜻 중 ‘어슴푸레하다’를 골랐고, ‘홀’은 ‘흐릿하다’ ‘멍한 모양’ ‘황홀하다’ ‘분명하지 아니한 모양’ ‘미묘함’ 등의 뜻 중 ‘흐릿하다’를 택했다.
‘황혜홀혜’(恍兮惚兮)는 앞의 ‘황’과 ‘홀’의 뜻 그대로 ‘어슴푸레하고 흐릿하구나!’라고 했다. 그리고 그다음의 ‘홀혜황혜’는 ‘황’과 ‘홀’의 순서만 바뀌어 있다. 그런데 ‘황혜홀혜’가 ‘홀혜황’(惚兮恍)으로 되어 있거나 ‘호혜황혜’가 ‘황혜홀’(恍兮惚)로 되어 있는 기록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요혜명혜’(窈兮冥兮)도 ‘묘혜명’(杳兮冥)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요’는 ‘깊다’ ‘고요하다’ ‘그윽하다’ ‘멀다’ ‘곱다’ ‘얌전하다’ ‘희미하다’ 등의 뜻을 지니는데, 나는 ‘깊다’를 골랐다. 그리고 ‘명’은 ‘어둡다’ ‘어둠’ ‘밤’ ‘깊숙하다’ ‘아득하다’ ‘하늘’ ‘바다’ ‘저승’ 등을 나타내는데, 나는 ‘아득하다’를 집었다. 또, ‘기중유정’(其中有精)에서 ‘정’은 ‘정기’(精氣) 또는 ‘순일무잡(純一無雜)한 길(道)’ 등을 말한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정’의 뜻인 ‘맑은 마음’을 택했다. 원래 ‘정’은 ‘깨끗하게 정미한 쌀’이라는 뜻이지만, ‘맑은 마음’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자고급고’(自古及古)도 ‘자고급금’(自古及今)으로 되어 있는 기록이 있다. 이는 뒤엣것이 옳을 성싶다. 그리고 ‘이열중보’(以閱衆甫)에서 ‘중보’는 ‘만물의 시초’라고 한다. ‘중’은 ‘끝과 시작’ ‘만물의 소멸과 생성’ 등을 가리키고, ‘보’는 ‘시’(始)와 뜻이 같다고 한다. 그래서 나는 ‘모든 것의 맨 처음’이라고 풀었다. 또, ‘이차’(以此)는 ‘까닭’이라는 뜻으로 이는 ‘앞에 말한 길의 오묘한 현상’을 나타낸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저 글자 그대로 ‘이와 같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나무 찾기]
‘요혜명혜 기중유정’(窈兮冥兮 其中有精, 깊고 아득하구나! 그 가운데에 맑은 마음이 있다.)라는 데에서 얼핏 내 머리에 떠오르는 나무 이름 하나가 있다. 그 이름은 바로 ‘수수꽃다리’(Syringa dilatata)이다.
깊숙하고 아늑하여 깨어나지 않는 봄꿈
팔랑팔랑 노랑나비 안 보이게 날아와서
어릴 적, 마음 한 자락 잡고 놓지 않는다.
종다리는 뱃종뱃종 높이 떠서 노래하고
저 멀찍이 수수 이삭 빈 그림자 흔드는데
아직껏 못 잊는 냄새, 너를 안고 맡는다.
-졸시 ‘수수꽃다리에게’ 전문
수수꽃다리의 꽃향기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나는 다만 ‘그윽하고 깊숙하다.’라고 말할 수밖에 없을 듯싶다. 눈이 감기도록 하는 그 향기는 나를 어려웠던 시절로 이끈다. ‘수수꽃다리’라는 이름은 ‘원뿔 꽃차례에 달리는 꽃 모양이 옛 잡곡의 하나인 수수의 꽃을 닮았기 때문’에 붙여졌다. 즉, ‘수수꽃다리’란, ‘수수의 꽃을 단다.’라는 의미인 성싶다. 수수꽃다리는 추운 북쪽 지방의 석회암지대가 고향이라고 한다. 황해도와 경기도 및 강원도, 그리고 평남북과 함남북 지방에 자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디든지 잘 자란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3장, 들어도 들리지 않는 말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9 |
---|---|
제22장, 휘어지면 고스란하게 되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9 |
제20장, 쓸데없는 배움을 끊어 버리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8 |
제19장, '거룩함'을 끊고 '슬기로움'을 버리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8 |
제18장, 큰 길이 무너지고 나서(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