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풂- 제56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그 구멍을 막고 그 문을 닫으며 그 날카로움을 꺾고 그 엉클어짐을 풀며, 그 빛을 부드럽게 하고 그 티끌과 함께한다. 이를 가리켜서 ‘거무레하게 함께 함’이라고 일컫는다.
그 까닭에 가까이할 수도 없고 멀리할 수도 없으며, 보탬이 되게 할 수도 없고 깎임이 되게 할 수도 없으며, 값지게 할 수도 없고 값싸게 할 수도 없다.
그 까닭에 하늘 아래 값진 것으로 삼는다.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지자불언 언자부지. 색기태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시위현동. 고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 불가득이귀 불가득이천. 고위천하귀)
[뜻 찾기]
‘지자’(知者)는 ‘아는 사람’이라는 뜻이지만, 여기에서는 ‘길(道)을 깨달은 사람’을 가리킨다고 한다.
‘색기태’(塞其兌)와 ‘폐기문’(閉其門)은 이미 제52장에서 소개되었다. 여기에서도 그 풀이를 그대로 따랐다. 그리고 ‘좌기예’(挫其銳)는 ‘그 날카로운 기운을 꺾음’을 나타낸다고 한다. 또, ‘해기분’(解其紛)에서 ‘분’은 ‘어지러워지다’ ‘섞이다’ ‘엉클어지다’ ‘많다’ ‘느슨해지다’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나는 그중에서 ‘엉클어지다’를 골랐다. 일반적으로 ‘해기분’은 ‘그 분쟁을 해결한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앞의 제4장에서 ‘좌기예’(挫其銳)와 ‘해기분’(解其紛), 그리고 ‘화기광’(和其光)과 ‘동기진’(同其塵) 등이 거론되었다. 여기에서도 그 뜻과 같이 풀었다. 또, ‘시위현동’(是謂玄同)에서 ‘현동’은 ‘날카롭고 둔한 것’ 또는 ‘밝고 어두운 것’ 등의 양극단의 것을 잘 조화하여 치우치거나 부족함이 없게 동일 상태로 하는, ‘길(道)의 심원하고도 신비한 작용’을 일컫는다고 한다. 말하자면 ‘현묘한 길(道)과 하나가 된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이를 ‘거무레하게 함께 함’이라고 했다. 앞에서 나는 ‘현덕’(玄德)을 ‘거무레한 베풂’이라고 풀었기 때문이다. 그와 맥락을 같이하려는 생각에서 그렇게 했다.
‘위천하귀’(爲天下貴)에서 나는 ‘위’를 ‘삼는다.’라고 풀었다. 그래서 ‘위천하귀’는 ‘하늘 아래 값진 것으로 삼는다.’라고 풀이된다.
[나무 찾기]
‘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가까이할 수도 없고 멀리할 수도 없다.)에서 나는 불현듯 ‘대추나무’(Zizyphus jujuba var. inermis)를 생각한다. 대추나무에는 가시가 숨겨져 있다. 그렇기에, 가까이하면 가시에 찔리고 멀리하면 맛 좋은 대추를 얻을 수 없다.
잎들이 간지러운 물결을 일으킨다.
늦잠을 깨고 나서 천천히 내미는 얼굴
저마다 하품을 물고 밀물 같은 술렁임.
가다간 숨이 멎는 매듭을 남겨 두고
가시에 찔린 손끝 작은 사랑 되새기면
빈 가지에 돋는 별빛이 어두움을 걷는다.
동요를 다시 만난 감성 하나 빗질하며
살며시 붉힌 눈매 꺼내 보인 뜨거운 맘
바르게 제 갈 길 찾아 이정표를 세운다.
-졸시 ‘대추나무’ 전문
대추나무는 ‘묏대추나무’(Z. jujuba)의 변종이다. 다시 말해서 묏대추의 일종으로 키가 크고 턱잎이 변한 가시는 흔적뿐이며 열매는 3센티미터 안팎으로 길둥근꼴이고 과육이 많은 것을 ‘대추나무’라고 한다. 개량종이고 재배종이다. 묏대추나무는 갈잎떨기나무로서 가지 끝과 잎 뒷면에 털이 조금 있다. 작은 가지는 한 군데에서 여러 개가 나오며 일부가 떨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알꼴이며 그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턱잎이 흔히 길이 3센티미터 정도의 가시로 변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연한 녹색이다. 핵과(核果)인 열매는 길둥글거나 공 모양이고 9~10월에 적갈색(赤褐色) 또는 암갈색(暗褐色)으로 익는다. 열매는 먹을 수는 있지만 과육이 적다. ‘동의보감’에, 묏대추나무의 씨는 ‘산조인’(酸棗仁)이라고 하여 ‘속이 답답해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증상, 배꼽의 위아래가 아플 때, 피가 섞인 설사 증상, 식은땀이 날 때 등에 효과가 있다.’라고 한다. 그래서 ‘간의 기능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라고 소개하고 있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8장, 그 다스림이 어둡고 어두우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3 |
---|---|
제57장,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며/ 김 재 황 (0) | 2022.03.03 |
제55장, 지닌 베풂이 두터운 것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2 |
제54장, 잘 세운 것은 뽑히지 않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2 |
제53장, 나에게 조그마한 앎이 있어서(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