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풂- 제57장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며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며 ‘늘 그러하지 않고 다름’으로써 군사를 부리며 ‘일이 없음’으로써 하늘 아래를 차지한다.
내가 무엇으로써 그게 그러함을 알겠는가. 이와 같기 때문이다.
하늘 아래 ‘하지 말라고 하는 게’ 많으면 나라 사람이 두루 가난해진다. 나라 사람에게 ‘보탬이 되는 그릇’이 많으면 나라와 집은 어지러움이 우거지게 되고, 사람들에게 잡스러운 솜씨가 많으면 ‘이상야릇한 물건’은 일어섬이 우거지게 되며, 법률과 명령의 드러냄이 우거지게 되면 도둑이 많아지게 된다.
그 까닭에 ‘거룩한 이’는 말한다.
“내가 함이 없으면 나라 사람은 스스로 달라지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면 나라 사람은 스스로 바르게 되며, 내가 일이 없으면 나라 사람은 스스로 넉넉해지고, 내가 하고자 함이 없으면 나라 사람은 스스로 수수하게 된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 人多伎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 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自樸.”
(이정치국 이기용병 이무사취천하. 오하이지기연재. 이차. 천하다기휘 이민미빈 민다리기 국가자혼 인다기교 기물자기 법령자창 도적다유. 고성인운 “아무위이민자화 아호정이민자정 아무사이민자부 아무욕이민자박.”)
[뜻 찾기]
‘이정치국’(以正治國)에서 ‘정’은 ‘바르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고 한다. 그런데 이는, 무위(無爲)가 아니라고 한다. 그리고 ‘이기용병’(以奇用兵)에서 ‘기’는 일반적으로 ‘기이한 계책’이라는 풀이들을 한다. ‘기’는 ‘기이하다’ ‘기특하다’ ‘뛰어나다’ ‘거짓’ ‘속임’ ‘운수 사납다’ ‘몰래’ ‘느닷없이’ ‘홀수’ ‘한쪽’ ‘불운하다’ ‘실패’ ‘대단히’ ‘나머지’ 등의 여러 뜻을 지니고 있다. 나는 그중에서 ‘기이하다’를 골라서 ‘늘 그러하지 않고 다름’이라고 풀었다. 사실은 여기에서 ‘병’을 ‘전쟁’이라고 보면 ‘거짓’이나 ‘속임’이 더 적합한 말이다. 그렇지 않다면 ‘병불염사’(兵不厭詐)란 말이 왜 생겼겠는가. 그래서 어느 풀이에서는 ‘남을 속이는 기이한 꾀’라고 기술하기도 했다.
‘오하이지기연재’(吾何以知其然哉)는 앞의 제54장에서 소개한 ‘오하이지천하연재’(吾何以知天下然哉)를 떠올리게 한다. 다만, ‘기’와 ‘천하’만 다를 뿐이다. ‘이차’(以此) 또한 제54장 그대로이다.
‘천하다기휘’(天下多忌諱)에서 ‘기휘’는 ‘싫어하고 꺼리는 것으로 금기사(禁忌事)’를 이르는데 ‘금령’(禁令)을 뜻한다고 한다. 쉽게 말하면 ‘금지사항’이다. 그러나 나는 쉽게 ‘하지 말라고 하는 것’으로 풀었다. 그리고 ‘민다이기’(民多利器)에서 ‘이기’를 ‘예리한 무기’라고 풀이하기도 하나, 그 말은 마땅하지 않다. 나는 이를 그냥 ‘보탬이 되는 그릇’이라고 했다. ‘보탬이 되는 그릇’이 많다는 것은 ‘보탬이 되는 물건’이 많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는 나아가서 ‘사치함’을 나타낸다. 또, ‘인다기교’(人多伎巧)에서 ‘기교’는 ‘솜씨’를 이르는 말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잡스러운 솜씨’를 가리킨다. 부정적인 느낌이 담겨 있다. 그런가 하면, ‘기물자기’(奇物滋起)에서 ‘자’는 ‘불다’ ‘번성하다’ ‘맛있다’ ‘더욱’ ‘우거지다’ ‘심다’ ‘적시다’ ‘흐리다’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우거지다’를 골랐다.
‘아무위이민자화’(我無爲而民自化)에서 ‘화’는 ‘화하다’ ‘변함’ ‘가르치다’ ‘태어나다’ ‘자라다’ ‘죽다’ ‘요술’ ‘다르다’ 등의 뜻이 있다. 나는 그중에서 ‘변함’과 ‘다르다’를 골라서 ‘달라지다’라고 풀었다.
[나무 찾기]
‘천하다기휘 이민미빈’(天下多忌諱 而民彌貧, 하늘 아래 ‘하지 말라고 하는 게’ 많으면 나라 사람이 두루 가난해진다.)에서 나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를 떠올리게 된다.
회갈색 몸뚱이로 남쪽 섬에 태어나서, 신비의 산정 향해 발걸음을 옮기다가, 수악교 바라다보며 가쁜 숨을 모은다.
봄볕이 간질이니 홍조 띠고 깨어난 꽃, 영화를 함께 하고 무상하게 지고 있나, 잎마다 애틋한 사랑이 날개처럼 돋는다.
오뉴월 그 입술은 단물 들어 벌어지고, 하늘이 높아 가면 가슴 속은 불타는데, 관음사 기울어지는 아픔 물고 잠든다.
-졸시 ‘왕벚나무’ 전문
왕벚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그런데 어떤 이는, ‘일본의 나라 나무’라고 하여 심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라 나무’는 그들이 그렇게 정한 것뿐이지, 내가 그 나무를 좋아하는 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렇게 심지 말아야 한다는 게 많으면 우리의 산림만 가난해진다. 유독 벚나무만을 멀리할 필요는 없다.
왕벚나무는, ‘벚나무 중에서 그 꽃이 크기’에 ‘왕’ 자가 붙었다. 그리고 ‘벚나무’란, ‘버찌’가 달리는 나무, 즉 ‘버찌나무’가 변하여 ‘벚나무’로 되었다고 한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9장,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김에(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3 |
---|---|
제58장, 그 다스림이 어둡고 어두우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3 |
제56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2 |
제55장, 지닌 베풂이 두터운 것은(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2 |
제54장, 잘 세운 것은 뽑히지 않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