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머리에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야망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앞을 곧잘 바라보기는 한다. 그러나 제대로 자신의 야망을 펼치려면 뒤를 돌아볼 줄도 알아야 한다. 그런데 고전 읽기야말로 뒤를 돌아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미 나는 인물전기인 ‘숫시인 싯다르타’와 ‘씬쿠러, 콩쯔’를 펴내었다. 그리고 이어서 ‘노자’에 대한 공부가 시작되었으나, 노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문헌에서도 찾기가 어려웠다. 하는 수 없이, 나는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을 펼쳐 들었다. 모두 아는 바와 같이, 이 책은 ‘도경’(道經, 길 모음) 37장과 ‘덕경’(德經, 베풂 모음) 44장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물론, ‘도’(道)는 ‘길’ ‘이치’ ‘도리’ ‘다니다’ ‘행하다’ ‘따르다’ ‘다스리다’ ‘가르치다’ ‘깨우침’ 등의 뜻을 지니나, 나는 ‘길’을 택했다. 그리고 ‘덕’(德)은 ‘크다’ ‘은혜’ ‘베풀다’ ‘어진 이’ ‘행복’ ‘얻다’ ‘절조’ ‘능력’ 등의 뜻을 지니지만, 나는 ‘베풀다’를 골라서 ‘베풂’이라고 했다. 그리고 ‘경’(經)은 ‘책’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그 81장이 모두 각각 한 편씩의 시(詩)로 되어 있다는 사실에 나는 매우 놀랐다. 그래서 나는 이 81장을, 의역(意譯)을 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직역(直譯)을 해야 되겠다고 마음먹었다. 또, 뜻글을 되도록 버리고 소리글로 써야 하겠다고 마음먹었다. 왜냐하면, 시(詩)는 그 즐거움이 ‘뜻을 아는 데 있지 않고 의미를 느끼는 데에 있기 때문’이다.
나는 결코 노자의 생각을 높이려고 하거나 따르라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아주 먼 옛날에 살았던 ‘노자’라는 사람이 어떤 생각을 지니고 있었는가를 몸으로 느껴 보라고 권할 뿐이다. 다시 말해서, 시(詩)는 그 내용의 옳고 그름을 따질 필요가 없다. 각기 나름대로 느끼면 된다.
그러나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은 중국 고전 중에서 가장 우수한 고전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을 읽는 자체가 먼 옛날로 떠나는 여행이다. 그렇기에 먼 시대로 떠나는 여행의 즐거움을 놓칠 수 없다. 그리고 그 즐거움을 맛보지 않을 수 없다. 그렇게 하려면, 노자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이나 한자적 자해(字解) 등을 반드시 짚어 보아야 한다. 그래서 나는 이 책에 ‘뜻 찾기’라는 항목을 만들어서 청소년들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여기에서 조금 언급해 둘 사항이 있다. ‘노자도덕경’에 있어서 ‘도경’(길 모음)은 일반적이고 철학적인 원리를 서술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덕경’(베풂 모음)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그처럼 엄밀하게 구분되어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아니, 어쩌면 노자의 글이 후대로 전해지면서 많이 첨삭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나는 청소년들에게 좀 더 폭넓은 발상을 전개시키기 위하여, 81장을 하나하나 읽어 나가며 그 각 장의 한 문구에서 집히는 나무 이야기를 곁들였다. 그리고 그 항목을 ‘나무 찾기’라고 했다. 이 책에는 어림잡아서 모두 120여 종의 나무 이야기가 들어 있다. 나무에 대한 혼동을 없애기 위하여 각 나무의 이름 다음에는 속명(屬名)과 종소명(種小名)을 괄호 안에 넣었다. 그뿐만 아니라, 왜 그 나무에는 그런 이름이 붙여졌는지, 나무 이름에 대한 설명과 유래도 간단히 적어 놓았다. 이로써 청소년들은 나무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얻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다시 강조하거니와, ‘노자도덕경’은, ‘어떤 사회에서 사람들이 그것에 의하여 선(善)과 악(惡) 및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올바르게 행동하기 위한 규범의 총체’인 그런 부류의 진부한 도덕책이 아니다. 그렇다. 한 권의 시집이다. 청소년들이 즐기는 방법 그대로,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그저 읽고 느끼며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기 바란다.
2010년 여름 낙성대에서
저자
차 례
책 머리에/ 5
노자에 대하여/ 11
제1부 길
제 1장 길을 길이라고 하면/ 25
제 2장 아름다운 것을 아름다운 줄로/ 30
제 3장 낫다는 것을 높이지 않으면/ 36
제 4장 길은 빈 그릇이다/ 42
제 5장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47
제 6장 산골짜기의 검님은 죽지 않으니/ 53
제 7장 하늘은 멀고 땅은 오래 간다/ 59
제 8장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65
제 9장 지니고서도 가득 채우는 것은/ 71
제10장 몸과 넋의 지음을 싣고/ 77
제11장 서른 개의 바퀴살이/ 83
제12장 다섯 가지 빛깔은/ 89
제13장 굄도 더럽힘도 놀라는 듯이/ 95
제14장 보려고 해도 안 보이니/ 101
제15장 예로부터 좋은 선비라고 하는 사람은/ 107
제16장 빔이 끝에 이르고/ 119
제17장 크게 위에 있는 것은/ 125
제18장 큰 길이 무너지고 나서/ 131
제19장 ‘거룩함’을 끊고 ‘슬기로움’을 이기면/ 137
제20장 배움을 끊어 버리면/ 137
제21장 크고 깊은 베풂의 모습은/ 143
제22장 휘어지면 고스란하게 되고/ 149
제23장 들어도 들리지 않는 말은/ 155
제24장 발돋움한 사람은 서 있을 수 없고/ 160
제25장 섞여서 이루어진 것/ 166
제26장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 172
제27장 잘 가는 것은 지나간 자국이 없고/ 178
제28장 그 수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키면/ 184
제29장 앞으로 어느 때에 하늘 아래를/ 190
제30장 길로써 임금을 돕는 사람은/ 196
제31장 무릇 훌륭한 ‘칼이나 활’이라는 것은/ 202
제32장 길은 늘 그러한 이름이 없으니/ 208
제33장 몸소 스스로를 아는 사람은/ 214
제34장 큰 길은 물이 넘쳐서/ 220
제35장 큰 생김새를 잡고 하늘 아래로 간다/ 225
제36장 앞으로 어느 때에 움츠리게 하려면/ 231
제37장 길은 늘 그렇게 함이 없으면서도/ 237
제2부 베풂
제38장 높은 베풂은 베풂이라고 하지 않는다/ 245
제39장 처음에 하나를 얻는 것으로서/ 251
제40장 되돌아간다는 것은 길의 움직임이다/ 257
제41장 높은 선비는 ‘길’에 대해 들으면/ 263
제42장 길은 하나를 낳고/ 269
제43장 하늘 아래 아주 부드러운 것이/ 275
제44장 이름과 몸은 어떤 것이 더/ 281
제45장 크게 이룬 것은 이지러진 것 같으나/ 287
제46장 하늘 아래 길이 있으면/ 293
제47장 지게문을 나가지 않고도/ 299
제48장 배움으로 나아가면 날로 보태어지고/ 305
제49장 거룩한 이는 늘 그러한 마음이/ 311
제50장 삶으로 나오고 죽음으로 들어간다/ 317
제51장 길은 낳고 베풂은 기르며/ 323
제52장 하늘 아래 맨 처음이 있다/329
제53장 나로 하여금 조그마한 앎이 있어서/ 335
제54장 잘 세운 것은 뽑히지 않고/ 341
제55장 지닌 베풂이 두꺼운 것은/ 347
제56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353
제57장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며/ 359
제58장 그 다스림이 어둡고 어두우면/ 365
제59장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김에/ 371
제60장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377
제61장 ‘큰 나라’라고 하는 것은/ 383
제62장 길이라고 하는 것은 모든 것의 아랫목/ 389
제63장 ‘함이 없음’을 하고 ‘일이 없음’을 일삼으며/ 395
제64장 그 ‘흔들림 없이 자리 잡은 것’은/ 401
제65장 예전에 삶의 길을 잘 걸어간 사람은/ 407
제66장 강과 바다가 익숙하게 잘/ 413
제67장 하늘 아래 모두 일컫기를/ 419
제68장 선비 노릇을 잘하는 사람은/ 425
제69장 병사를 부림에 이런 말이 있으니/ 431
제70장 내 말은 아주 알기 쉽고/ 437
제71장 알면서 알지 못한다고 하는 것/ 443
제72장 두려움을 삼가고 근심하지 않으면/ 449
제73장 두려움을 무릅쓰는 데에 날래고 사나우면/ 455
제74장 죽음을 삼가고 근심하지 않으면/ 462
제75장 나랏사람이 굶주리는 것은/ 468
제76장 사람이 살아서는 부드럽고 여리지만/ 474
제77장 하늘의 길은 활을 당김과 같은가/ 480
제78장 물보다 부드럽고 여린 것은 없다/ 486
제79장 커다란 탓함은 풀더라도/ 492
제80장 나라는 작고 나랏사람은 적게 한다/ 498
제81장 믿음직한 말은 아름답지 않고/ 504
저자 김재황 연보/ 510
책 꼬리에/ 514
수록된 나무 찾아보기/ 516
'내 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재황 인물탐구 <거슬러 벗 사귀다(맹자 이야기)> (0) | 2012.05.23 |
---|---|
김재황 전국여행시조집 <양구에서 서귀포까지> (0) | 2011.04.08 |
김재황 인물전기 <씬쿠러, 콩쯔> (0) | 2009.09.06 |
김재황 시조집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0) | 2009.08.09 |
김재황 인물전기 <숫시인 싯다르타> (0) | 200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