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고시조 감상 419

九仞山 긴 솔 베혀/ 박 인 로

264. 九仞山 긴 솔 베혀/ 박 인 로 [원본] 九仞山 긴 솔 베혀 濟世舟를 모어내야 길 닐근 行人을 다 건내려 하엿더니 사공도 無狀하야 暮江頭에 바렷나다. [역본] 긴 산에 큰 솔 베어 구제 배를 만들어서 길 잃은 사람들을 건너가게 하렸더니 사공이 변변치 못해, 저문 강가 버려졌네.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

誠意關 도라 들어/ 박 인 로

263. 誠意關 도라 들어/ 박 인 로 [원본] 誠意關 도라 들어 入德門 바라보니 크나큰 한길이 넙고도 곳다마난 엇지타 盡日行人이 오도가도 아닌게오. [역본] 성의 집 돌아들어 입덕 문 바라보니 크나큰 하나의 길 넓고 곧게 뻗었건만 어찌해 온종일 내내 가는 사람 없는가.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한다. 초장..

明鏡에 틔찌거던/ 박 인 로

262. 明鏡에 틔찌거던/ 박 인 로 [원본] 明鏡에 틔찌거던 갑주고 딧글줄 아희 어룬 업시 다 밋쳐 알건마난 갑업시 닷글 明德을 닷글줄을 모라나다. [역본] 거울에 먼지 끼면 값을 주고 닦을 줄을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모두 알고 있건마는 값 없이 닦을 수 있는 베풂 닦음 모른다.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남으로 삼긴 거시/ 박 인 로

261. 남으로 삼긴 거시/ 박 인 로 [원본] 남으로 삼긴 거시 夫婦갓치 重할넌가 사람의 百福이 夫婦에 가잣거든 이리 重한 사이에 아니 和코 엇지하리. [역본] 남끼리 맺은 것이 부부처럼 무거울까 사람들 온갖 행복 그 부부에 갖췄는데 이렇듯 무거운 새에 화합 없고 어쩌리.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한다. ..

夫婦 삼길 적의/ 박 인 로

260. 夫婦 삼길 적의/ 박 인 로 [원본] 夫婦 삼길 적의 하 重케 삼겨시니 夫唱 婦隨하야 一家天地和하리라 날마다 擧案齊眉를 맹광갓게 하여라. [역본] 남편 부인 생길 적에 참 무겁게 생겼으니 이끈 남편 따른 아내, 온 집안이 따뜻하다 날마다 밥상 정성껏 맹광처럼 하여라.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한다...

仔細히 살펴보면/ 박 인 로

259. 仔細히 살펴보면/ 박 인 로 [원본] 仔細히 살펴보면 뉘 아니 感激하리 文字난 拙하되 誠敬을 삭여시니 진실로 熟讀詳味하면 不無一助 하리라. [역본] 꼼꼼히 살펴보면 누가 아니 뭉클할까 글자는 서툴러도 공경 삼가 새겼으니 정말로 읽고 맛보면 다 도움이 된다네.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한다. 초장으로..

幸玆秉彛心이/ 박 인 로

258. 幸玆秉彛心이/ 박 인 로 [원본] 幸玆秉彛心이 古今 업시 다 이실새 爰輯舊聞하야 二三篇 지어시니 嗟哉 後生들아 살펴보고 힘서하라. [역본] 행여나 곧은 마음, 때가 없이 다 있기에 옛날 들은 것들 모아 두세 편을 지었으니 자 이제 뒷사람들아 살펴보고 힘써라.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한다. 초장을 ..

天地間 萬物中에/ 박 인 로

257. 天地間 萬物中에/ 박 인 로 [원본] 天地間 萬物中에 사람이 最貴하니 最貴한 바난 五倫이 아니온가 사람이 五倫을 모라면 不遠禽獸 하리라. [역본] 이 땅에 있는 것 중 사람이 가장 값져 그 가장 값진 바는 오륜 그게 아니던가 사람이 오륜 모르면 짐승하고 뭐 달라. [감상] 박인로(朴仁老 1561~ 1642)는 조선 중기의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무인이다. 자(字)는 ‘덕옹’(德翁)이고 호(號)는 ‘노계’(蘆溪) 또는 ‘무하옹’(無何翁)이다. 39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萬戶)로 부임했고, 41세 때에는 친구 한음(漢陰) 이덕형을 찾아가서 감을 대접받고 이 시조, 즉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지었으며, 45세 때 통주사(統舟師)로 부임하여 무인다운 기개의 ‘선상탄’(船上嘆)을 지었다고 한다. 초..

흥흥 노래하고/ 작가 미상

256. 흥흥 노래하고/ 작가 미상 [원본] 흥흥 노래하고 덩덕궁 북을 치고 宮商角徵羽를 마초릿경 하엿더니 어긔고 다 齟齬허니 허허웃고 마노라. [역본] 콧노래를 부르면서 요란하게 북을 치고 풍류로 다섯 음률 맞추려고 하였더니 어기고 다 어긋나니 그냥 웃고 만다네. [감상] 초장을 본다. ‘흥흥’은 ‘즐거워서 계속 콧노래를 부르는 소리’를 나타낸다. 콧노래를 부르면서 북을 치는 모양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세상은 즐겁게 살아야 좋으니 콧노래가 나오고 북소리가 거들면 어깨춤도 저절로 나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아무렇게나 하면 그게 무언가. 중장으로 간다. ‘궁상각치우’는 ‘5음의 각 명칭 또는 7음 중의 5명칭’인데, ‘군신민사물’(君臣民事物)에 해당된다고 한다. 그래도 즐거움을 나타낼 때는 음률에 맞추는 ..

아해야 그믈 내여/ 작가 미상

255. 아해야 그믈 내여/ 작가 미상 [원본] 아해야 그믈 내여 漁船에 시러 노코 덜괸 술 막걸너 주준에 다마 두고 어즈버 배 아직 놓지 마라 달 기다려 가리라. [역본] 여봐라 그물 내어 고깃배에 실어 놓고 덜 익은 술 마구 걸러 술단지에 담아 두고 아직은 배 풀지 마라 달 기다려 가겠다. [감상] 초장을 본다. 여기에 ‘어선’을 ‘어강’(漁舡)이라고 한 문헌도 보인다. 이는 둘 모두 같은 말인데, ‘강’(舡)은 ‘선’(船)의 속자라고 한다. 즉, 둘 모두 ‘고깃배’르 가리킨다. 처음에 고시조에서는 ‘아이야’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ㅇ건 정말로 아이를 부르는 게 아니라, 하나의 습관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여봐라’를 즐겨 쓴다. 누군가에게 하라고 할 때 쓰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중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