樂記(악기) 第十九(제십구)
19- 77 故歌之爲言也 長言之也 說之故言之 言之不足 故長言之 長言之不足 故嗟歎之 嗟歎之不足 故不知手之舞之足之蹈之也( 고가지위언야 장언지야 열지고언지 언지불족 고장언지 장언지불족 고차탄지 차탄지불족 고불지수지무지족지도지야).
[“그러므로 노래의 말 삼음은 길게 말하는 것입니다. 기뻐하기 때문에 말하고 말해도 부족하기 때문에 길게 말하며 길게 말해도 부족하기 때문에 ‘차탄’(嗟歎: 한숨지어 탄식함. ‘차’는 소리에 관계되고, ‘탄’은 기운에 관계됨. 차탄하여 자연스레 억양이나 고하의 음조가 나오는 것)합니다. 차탄하는 것도 부족하기 때문에 손으로 춤추고 발로는 밟음을 알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노래라는 것은 길게 말하는 것이다. 기뻐하기 때문에 말하게 되고 말로도 부족하기 때문에 길게 말하게 된다. 길게 말해도 부족하여 그래서 차탄하게 된다. 차탄해도 부족하기 때문에 손과 발을 춤추어서 어찌할 줄 모른다.“
[시조 한 수]
노래라는 것
김 재 황
말보다 그 노래는 길게 해야 한다는데
길어도 좀 부족해 한숨짓게 된다는 것
더하니 손발을 놀려 춤추는 게 아닌가.
'예기를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기상 20-2, 대부나 선비가 길에서 죽었을 때 (0) | 2022.08.09 |
---|---|
잡기상 20-1, 제후가 가다가 관사에서 죽으면 (0) | 2022.08.09 |
악기 19-76, 그러므로 노래란 높이 솟는 것 같이 오르고 (0) | 2022.08.08 |
악기 19-75, "그러므로 '상'이란 5제의 남긴 소리울림입니다." (0) | 2022.08.08 |
악기 19-74, '사을'이 말했다. "나는 천한 '공'입니다."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