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풂- 제41장
높은 선비는 ‘길’에 대해 들으면
높은 선비는 ‘길’에 대해 들으면 힘써서 걸어가고, 가운데 선비는 ‘길’에 대해 들으면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낮은 선비는 ‘길’에 대해 들으면 크게 웃는다. 웃지 않으면 이를 ‘길’이라고 하기에 모자란다.
그 까닭에 예로부터 이어져 오는 말이 있다. ‘밝은 길은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길은 물러나는 것 같으며, 가지런한 길은 어그러진 것 같다. 그리고 높은 베풂은 골짜기와 같고, 아주 깨끗한 것은 더러운 것 같다.’
‘넓은 베풂은 모자란 것 같고, 세운 베풂은 훔친 것 같다. 또, 순박하고 참됨은 풀어지는 것 같고, 큰 네모는 구석이 없고 큰 그릇은 이루어짐이 늦으며, 큰 가락은 소리가 드물고 큰 생김새는 드러냄이 없다.’
‘길’은 숨어서 이름이 없다. 무릇 오직 ‘길’이기에 잘 빌려주고 잘 이루게 한다.
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 不足以爲道. 故建言有之 明道若昧 進道若退 夷道若纇 上德若谷 大白若辱. 廣德若不足 建德若偸 質眞若渝 大方無隅 大器晩成 大音希聲 大象無形. 道隱無名 夫唯道善貸且成
(상사문도 근이행지 중사문도 약존약망 하사문도 대소지 불소 부족이위도. 고건언유지 명도약매 진도약퇴 이도약뢰 상덕약곡 대백약욕. 광덕약부족 건덕약투 질진약투 대방무우 대기만성 대음희성 대상무형. 도은무명 부유도선대차성)
[뜻 찾기]
‘상사’(上士)는 ‘학덕이 아주 높은 선비’를 이른다고 한다. 그리고 ‘약존약망’(若存若亡)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다.’라는 뜻이라는데, ‘믿는 듯도 하고 안 믿는 듯도 한 것’을 의미하는 말이라고도 한다. 즉, ‘반신반의’(半信半疑)하는 태도를 이른다고 한다. 다시 말하면, 길(道)의 존재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다.’라는 뜻일 성싶다. 또, ‘대소지’(大笑之)는 ‘길(道)을 크게 비웃는 것’을 뜻한다고 하는데, 아마도 믿지 않기에 그럴 듯싶다. 그러나 나는 글자 그대로 ‘크게 웃는다.’라고 했다.
‘건언’(建言)은 ‘입언’(立言)과 같다고 한다. ‘입언’은, 말에 요령이 있어서 ‘그 이치가 세상에 전할 만한 것’을 이른다고 한다. 또, 격언(格言)을 가리키기도 하고, ‘옛날의 훌륭한 말’이란 풀이도 있다. 나는 그저 ‘예로부터 이어져 오는 말’이라고 했다. 그러나 국어사전을 보면, ‘건언’은 ‘건백’(建白)과 같은 말이고, ‘건백’은, 관청이나 윗사람에게 ‘의견을 말하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또. ‘이도약뢰’(夷道若纇)에서 ‘이도’는 ‘가지런한 길’이다. ‘뢰’는 ‘마디’ ‘실마리’ ‘흠’ ‘잘못’ ‘어그러지다’ ‘꽃봉오리’ ‘깊다’ 등의 뜻을 지닌다. 나는 그중에서 ‘어그러지다’를 골랐다. 그러나 알려지기로는, ‘길이 울퉁불퉁한 것’을 말한다고 한다.
‘건덕약투’(建德若偸)에서 ‘건덕’은 ‘부동(不動)의 베풂’ 또는 ‘덕정(德政)을 행하는 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저 ‘세운 베풂’이라고 했다. 그리고 ‘대음희성’(大音希聲)에서 ‘희성’은 ‘귀로 들을 수 없는 소리’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소리가 드물다’라고 풀었다. 또, ‘대상’(大象)은 ‘극대(極大)의 상(像)’이라고 한다. 즉, 이는 ‘길’(道)을 이른다. 나는 앞의 흐름을 따라 ‘큰 생김새’라고 했다.
[나무 찾기]
‘명도약매 진도약퇴’(明道若昧 進道若退, 밝은 길은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길은 물러나는 것 같다.)에서 ‘나아가는 길은 물러나는 것 같다’가 아주 먼 길을 가리키는 성싶다. 그래서 나는 ‘먼나무’(Ilex rotunda)를 생각하게 된다.
노을로 열리는 아침
그리고 노을로 닫히는 저녁
아무리 지우려고 해도
핏물처럼 번져 오는 하루
네 아픔이 하늘에 올라
내 큰 서러움을 토닥여 주는
고운 손이 되고 있다.
-졸시 ‘나의 먼나무’ 전문
내가 제주도 서귀포에 살 때, 서귀포 시청 앞마당에는 아주 큰 먼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다. 아마 지금도 그 모습 그대로 서 있으리라고 믿는다. 11월이 되면 동글동글한 열매가 붉게 익어서 온통 나무를 뒤덮게 된다. 그 모습을 바라보면 참으로 장관이었다. 이 아름다운 열매는 추운 겨울을 눈과 비를 맞으면서 넘기고 이듬해 5월까지 달리는데 더욱이 붉은 열매가 광택이 있어서 멀리에서 보면 마치 붉게 꽃이 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먼나무는, ‘먼 고장인 제주도에서 난다고 하여’ 그 이름을 얻었다고 전한다.[(이하 생략)글: 김 재 황]
'노자, 그리고 나무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3장, 하늘 아래 아주 부드러운 것이(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6 |
---|---|
제42장, 길은 하나를 낳고(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6 |
제40장, 되돌아간다는 것은 길의 움직임이다(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5 |
제39장, 처음에 하나를 얻는 것으로서(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5 |
제38장, 베풂은 베풂이라고 하지 않는다(역: 녹시 김 재 황)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