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6 4

올여논 물 시러 두고/ 이 정 보

414. 올여논 물 시러 두고/ 이 정 보 [원본] 올여논 물 시러 두고 綿花 밧 매오리라울맷틔 외를 따고 보리 능거 點心하소 뒷 집에 술닉어거든 차자남아 가져 오새.   [역본] 올벼 논에 물을 대고 목화 밭은 매야 하리울 밑에서 오이 따고 보리 찧어 잠심 마련뒷집에 찌꺼기 술이라도 얻어 오면 좋겠소.   [감상]   이정보(李鼎輔 1693~ 1766)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字)는 ‘사수’(士受)이고 호(號)는 ‘삼주’(三洲) 또는 ‘보객정’(報客亭)이라고 한다. 1721년 진사과에 합격하고 1732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시작으로 몇 직책을 거치고 만년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사대부 시조작가로서 시조의 주축을 평민층으로 옮기는 ..

곳 피면 달 생각하고/ 이 정 보

413. 곳 피면 달 생각하고/ 이 정 보 [원본] 곳 피면 달 생각하고 달 발그면 술생각하고곳 픠쟈 달 밝쟈 술 어듸면 벗 생각하니언제면 곳 아래 벗 다리고 翫月長醉하려뇨.   [역본] 꽃 피면 달 바라고 달 밝으면 술 챙기고꽃 피고 달 오르고 술 얻으면 벗 떠올리네언제면 꽃과 벗 함께 달을 보며 취하려나.   [감상]   이정보(李鼎輔 1693~ 1766)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字)는 ‘사수’(士受)이고 호(號)는 ‘삼주’(三洲) 또는 ‘보객정’(報客亭)이라고 한다. 1721년 진사과에 합격하고 1732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시작으로 몇 직책을 거치고 만년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사대부 시조작가로서 시조의 주축을 평민층으로 옮..

뭇노라 부나븨야/ 이 정 보

412. 뭇노라 부나븨야/ 이 정 보 [원본] 뭇노라 부나븨야 네 뜻을 내 몰래라한나븨 죽은後에 또한나븨 딸아온이암을이 프새옛 즘생인들 너죽을줄 모르는다.   [역본] 묻노라 불나방아 네 뜻을 난 모르겠다한 나비 죽은 후에 또 한 나비 따라오니아무리 풀 벌레라도 너 죽는 줄 모르냐.   [감상]   이정보(李鼎輔 1693~ 1766)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字)는 ‘사수’(士受)이고 호(號)는 ‘삼주’(三洲) 또는 ‘보객정’(報客亭)이라고 한다. 1721년 진사과에 합격하고 1732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시작으로 몇 직책을 거치고 만년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사대부 시조작가로서 시조의 주축을 평민층으로 옮기는 데 일조를 했다는 평가..

서울 조계사에서/ 김 재 황

[양구에서 서귀포까지] 편                서울 조계사에서                                           김 재 황 서울 안 한복판에 숨은 듯이 앉았기에바람은 살금살금 발소리를 죽이는데고깔 쓴 백송 한 그루 기나긴 꿈 엮는가. 깊은 산 아니어도 깨우침은 있는 것을구름이 기웃기웃 극락전을 엿보는데나이 든 회화나무가 큰기침을 열고 있다.                                              (2011년)

오늘의 시조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