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 45

겨울 산행/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겨울 산행                                            김 재 황 혼자서 찾아가는 알지 못할 깊은 솔숲어젯밤 함박눈이 그리 펑펑 내렸기에그 산길 고운 순수가 나를 반겨 맞는다. 새들이 둥지 안에 둥근 꿈을 묻었어도나무들은 빈 가지에 활짝 피운 저 눈꽃들하늘의 마음 한 자락 먼저 와서 머문다. 집히는 기척 없고 추위 그냥 조는 기슭의젓이 소나무들 하얀 옷을 갖춰 입고떠난 임 계시는 곳을 바로 보라 말한다.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30

유선형 고향/ 김 재 황

[사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유선형 고향                                              김 재 황 언제나 그리움은 가슴속에 놓인 강물물살로 살아가는 옛 마을은 길둥근데어기야, 노를 저으며 내 고향이 떠간다. 세월의 물굽이를 딛고 있는 느티나무물소리 풍악 소리 푸른 잎에 가득 차면어여차, 구름을 안고 고향 소식 떠온다. 걸음이 뜸하다고 저 들녘도 여위는가,물까치 시린 울음 굴러오는 여울 건너사르르 고향 나루에 내 마음이 닿는다.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29

근황/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근황                                               김 재 황 편지지는 곁에 없고 우체국은 너무 멀다,요즘에도 친구들은 별일 없이 지내는지서둘러 컴퓨터 켠 후, 띄워 보는 이메일. 인터넷에 손 갔으니 여러 카페 방문하고소리에서 영상까지 느긋하게 둘러본다,그 참을 못 참겠는지, 울려 대는 핸드폰.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28

다시 이승에/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다시 이승에                                             김 재 황 저마다 사람들은 몸뚱이와 넋이 있고몸뚱이를 잃게 되면 넋이 홀로 남을 텐데그 넋은 나비가 되어 저승으로 가는가. 제비꽃인 박정만은 우주 멀리 간다 했고솜다리인 이성선은 저 먼 별이 된다 했네,나야 뭐, 이승에 남아 민들레나 됐으면-.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27

기쁘게 사는 나무/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기쁘게 사는 나무                                           김 재 황 구름을 멀리 두고 콧노래를 따르다가바람과 손을 잡고 엉덩춤을 밟는 나무어느덧 열린 어깨에 보름달이 앉습니다. 눈발이 날린 날엔 산수화를 그리다가큰비가 오는 날엔 서정시를 읽는 나무오히려 푸른 가슴이 꽃마을에 머뭅니다. 햇볕이 쨍쨍 쬐면 함박웃음 보이다가더위가 푹푹 찌면 멍석자리 펴는 나무언제나 높은 눈길은 바위산을 오릅니다.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26

나뭇잎 하나/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나뭇잎 하나                                             김 재 황 비우듯이 버리듯이 바람의 길 열어놓고다사로운 햇살 아래 꿈 날개를 펼치었네,어제는 먼 하늘 저쪽, 무동 타던 기쁨들. 꼿꼿하게 높직하게 발뒤꿈치 드는 마음하얀 달빛 쏟아져서 물 노을로 출렁이네,오늘은 조각배 한 척, 깃발 높이 내걸고. 노래하라 춤추어라 이 땅 중심 기울도록울긋불긋 풍악 소리 펑펑 흐를 들판 너머내일은 긴 걸음 딛고 빠른 세월 낚으리.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25

어와 뎌 족해야/ 정 철

392. 어와 뎌 족해야/ 정 철 [원본] 어와 뎌 족해야 밥업시 엇디 할꼬 어와 뎌 아자바 옷 업시 엇디할꼬 머흔 일 다 닐러사라 돌보고져 하노라. [역본] 슬프다 저 조카여 밥 없이 어찌할까 슬프다 저 아재여 옷 없이 어찌할까 궂은 일 모두 말해요 돌보고자 합니다. [감상] 정철(鄭澈 1536~ 1593)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며 문신이다. 본관은 연일(延日), 자(字)는 ‘계함’(季涵)이고 호(號)는 ‘송강’(松江)이다. 1561년에 진사시에 1등을 하고 이듬해에는 문과 별시에 장원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여러 관직을 지내고, 45세 때에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을 때 가사문학의 대가로서의 기질을 발휘했다고 한다. 그 후 55세 때는 좌의정에 올랐고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에 봉하여졌다. ‘어와’는 ‘아!..

三曲은 어드매오/ 이 이

389. 三曲은 어드매오/ 이 이 [원본] 三曲은 어드매오 취병에 닙 퍼졋다 綠樹에 山鳥난 下上其音 하난 적에 盤松이 바람을 바드니 녀름 景이 업세라. [역본] 셋째 경치 어디인가 병풍 절벽 감싸는 잎 산의 새는 녹색 나무, 그 아래 위 우짖을 때 가로 솔 받은 바람에 여름 빛이 없구나. [감상] 이이(李珥 1536~ 1584)는 조선 중기의 추앙받는 학자이다. 자(字)는 ‘숙헌’(叔獻)이고 호(號)는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 등이라고 한다. 즉, 신사임당의 아들이다. 1564년 신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기까지 모두 9번이나 장원을 하였고, 좌랑이나 지평 등을 지내고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582년부터 판서 등을 역임하고 일단 사직했다가 그 후에 다시 부사와 이조판서에 임..

二曲은 어드매오/ 이 이

388. 二曲은 어드매오/ 이 이 [원본] 二曲은 어드매오 花岩에 春晩커다 碧波에 곳츨 띄워 野外로 보내노라 사람이 勝地를 모로니 알게 한들 엇더리. [역본] 둘째 경치 어디인가 꽃 핀 바위 온 그 늦봄 푸른 물에 꽃을 띄워 들판으로 보내는데 사람이 좋은 곳 모르니 알게 하면 좋겠구나. [감상] 이이(李珥 1536~ 1584)는 조선 중기의 추앙받는 학자이다. 자(字)는 ‘숙헌’(叔獻)이고 호(號)는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 등이라고 한다. 즉, 신사임당의 아들이다. 1564년 신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기까지 모두 9번이나 장원을 하였고, 좌랑이나 지평 등을 지내고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582년부터 판서 등을 역임하고 일단 사직했다가 그 후에 다시 부사와 이조판서에 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