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1 4

東風이 건듯부니/ 윤 선 도

378. 東風이 건듯부니/ 윤 선 도 [원본] 東風이 건듯부니 믉결이 고이닌다 東湖를 도라보며 西湖로 가쟈스라 두어라 압뫼히 지나가고 뒷뫼히 나아온다. [역본] 샛바람 잠깐 부니 고운 물결 일어난다 동쪽 호수 돌아보며 서쪽 호수 찾아가자 앞산은 차츰 지나고 저 뒷산이 다가온다. [감상] 윤선도(尹善道 1587~ 1671)는 조선시대의 중기와 후기의 문신이자 작가 및 음악가이다. 여러 관직을 거친 후, 보길도(甫吉島)에 은거하였고, 그 때 보길도를 배경으로 ‘어부사시사’를 지었다고 전한다. 또, 양주의 고산(孤山)에 은거하기도 했으며, 1657년 동부승지에 이르렀다고 한다. 일생 중 여러 번 파직 및 유배를 겪었다. 이 작품은 ‘어부사시사’ 중 ‘춘사(春詞) 제3’이다. 초장을 본다. ‘동풍’은 ‘’봄바람..

비오는대 들희가랴/ 윤 선 도

377. 비오는대 들희가랴/ 윤 선 도 [원본] 비오는대 들희가랴 사립닷고 쇼머겨라 마히 매양이랴 장기연장 다사려라 쉬다가 개난 날 보아 사래 긴 밧 가라라. [역본] 비 오니 들에 갈까 문 닫고 소 먹여라 장마라고 안 그칠까 쟁기 등을 손질해라 쉬다가 비가 개거든 이랑 긴 밭 갈아라. [감상] 윤선도(尹善道 1587~ 1671)는 조선시대의 중기와 후기의 문신이자 작가 및 음악가이다. 여러 관직을 거친 후, 보길도(甫吉島)에 은거하였고, 그 때 보길도를 배경으로 ‘어부사시사’를 지었다고 전한다. 또, 양주의 고산(孤山)에 은거하기도 했으며, 1657년 동부승지에 이르렀다고 한다. 일생 중 여러 번 파직 및 유배를 겪었다. 이 작품은 당쟁의 어지러움을 지적하였다고 본다. 초장을 본다. ‘들희’는 ‘들에’..

늙엇다 물너가쟈/ 송 순

376. 늙엇다 물너가쟈/ 송 순 [원본] 늙엇다 물너가쟈 마음과 議論하니 이님 바리고 어드러로 가잣말고 마음아 너란 잇거라 몸만 몬져 가리라. [역본] 늙었으니 물러나자 내 마음과 뜻 모으니 이 임금님 버리고서 그 어디로 가자는 말? 마음아 넌 남았거라 우선 먼저 몸만 가리. [감상] 송순(宋純 1493~ 1583)은 조선 시대 명종 때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평(新平), 자(字)는 ‘수초’(遂初) 또는 ‘성지’(誠之)이고 호(號)는 ‘면앙정’(俛仰亭) 또는 ‘기촌’(企村)이다. 시호(諡號)는 ‘숙정’(肅正)이다. 1519년 문과에 급제한 후에 벼슬이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는데, 말년에는 담양(潭陽)에 깊이 은거하여 책을 읽으며 자냈다. 초장을 본다. ‘물너가쟈’는 ‘물러나자’라는 뜻으로 본다. 그리고..

선유도 가다/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선유도 가다 김 재 황 넓은 바다 가르면서 쉬지 않고 달린 뱃길 내가 꿈에 그려 오던 선착장에 발을 딛다, 안개는 활짝 걷히고 간 곳 모를 신선이여. 민박집에 짐을 풀고 눈을 들어 앞을 보니 굳은 뼈대 우뚝 세운 망주봉이 친히 맞다, 아련히 폭포 소리에 젖어드는 내 마음 귀. 날 버리고 떠나버린 그 발자국 짚어 가며 작은 섬들 길게 잇는 모래밭을 홀로 걷다, 팽나무 빈 그림자만 날개 접고 머문 날에. (2009년)

오늘의 시조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