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1 4

門前의 梧桐 수문 뜻은/ 김 응 정

402. 門前의 梧桐 수문 뜻은/ 김 응 정 [원본] 門前의 梧桐 수문 뜻은 鳳凰 올라 숨어떠니鳳凰은 아니 오고 烏鵲만 진 친다童子야 법비 나가 烏鵲을 쳐라   [역본] 문 앞에 오동목을 봉황 올까 심었더니그 새는 안 오는데 모여드는 까막까치동자야 얼른 나가서 저 새들을 쫓아라.    [감상]   김응정(金應鼎, 1527~ 1620)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다. 본관은 도강(道康)이고 자(字)는 사화(士和)이며 호는 해암(懈菴)이다. 그는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명종비인 문정왕후가 죽었을 때를 비롯하여 명종과 선조가 죽었을 때 비록 관직은 없었지만 상복을 입고 상사에 임했다. 또, 임진왜란과 정유왜란 때에는 의병장을 도왔다. 현존하는 그의 시조 작품은 ‘해암문집’ 가곡조(歌曲條)에 겨우 8수만이 전하고 있다. ..

仁風이 부난 날에/ 김 응 정

401. 仁風이 부난 날에/ 김 응 정 [원본] 仁風이 부난 날에 鳳凰이 우단 말가滿城桃李는 지난이 곳시로다山林애 급고진 솔이아 곳이 잇사지라.   [역본] 어진 바람 부는 날에 봉황이 어찌 우나성 가득 복사 오얏, 지느니 꽃이구나산숲에 굽은 소나무야 꽃 없으니 질 일 없네.   [감상]   김응정(金應鼎, 1527~ 1620)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다. 본관은 도강(道康)이고 자(字)는 사화(士和)이며 호는 해암(懈菴)이다. 그는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명종비인 문정왕후가 죽었을 때를 비롯하여 명종과 선조가 죽었을 때 비록 관직은 없었지만 상복을 입고 상사에 임했다. 또, 임진왜란과 정유왜란 때에는 의병장을 도왔다. 현존하는 그의 시조 작품은 ‘해암문집’ 가곡조(歌曲條)에 겨우 8수만이 전하고 있다.   이..

雖在縲絏 중이나/ 김 응 정

400. 雖在縲絏 중이나/ 김 응 정 [원본] 雖在縲絏 중이나 非其罪는 남이 아내池漁之殃이요 漁網애 鴻罹로다聖君이 明見萬里外 하시니 그랄 밋고 니거라.   [역본] 죄인 되어 묶였지만 남이 아는 잘못 아님뜻밖에 횡액 만나 고기 그물 걸린 새 돼임금님 멀리서 보시니 믿음 갖고 기다리게.   [감상]   김응정(金應鼎, 1527~ 1620)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다. 본관은 도강(道康)이고 자(字)는 사화(士和)이며 호는 해암(懈菴)이다. 그는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명종비인 문정왕후가 죽었을 때를 비롯하여 명종과 선조가 죽었을 때 비록 관직은 없었지만 상복을 입고 상사에 임했다. 또, 임진왜란과 정유왜란 때에는 의병장을 도왔다. 현존하는 그의 시조 작품은 ‘해암문집’ 가곡조(歌曲條)에 겨우 8수만이 전하고 있다..

이강과 함께 흐르는 풍경/ 김 재 황

[서호납줄갱이를 찾아서] 편           이강과 함께 흐르는 풍경                                               김 재 황 세월을 뒤로 밀며 말이 없이 가는 강물물에 잠겨 풀을 뜯는 물소 또한 느긋한데강가를 차지한 산들, 올망졸망 나선다. 종이에 얹어 봐도 멋진 그림 바로 될 듯옥피리 부는 소리 얼핏 듣고 물든 가슴 떠나도 계림의 이강, 결코 잊지 못하겠네.                                               (2001년)

오늘의 시조 2024.05.11